USDA 1월 세계 곡물 수급 전망
2017/18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 소비량, 교역량, 재고량은 전년대비 모두 감소될 전망
미국 농업부(USDA)는 2017/18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이 25억 6590만 톤으로 전년대비 1.4% 감소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전체 곡물 소비량은 25억 7570만 톤으로 전망되어 소비량이 생산량을 약 970만 톤 정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세계 곡물 교역량은 전년대비 3.6% 감소하여 4억 1560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2017/18년도 곡물 재고량은 전년대비 1.5% 감소한 6억 4290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되었고, 재고율은 25.0%로 전년대비 0.3%p 감소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2017/18년도 쌀 생산량과 교역량은 약간 감소하나 재고량은 증가 전망
세계 쌀 생산량은 전년 수준과 비슷한 4억 8470만 톤으로 전망되었다. 쌀 소비량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지만 교역량은 전년대비 0.4% 감소될 전망이다. 쌀 기말재고량은 전년대비 2.2% 증가한 1억 4110만 톤으로 전망되고, 기말재고율은 전년보다 0.6%p 높은 29.3%가 될 전망이다.
2017/18년도 밀 생산량, 소비량, 교역량은 감소하나 재고량은 증가 전망
세계 밀 생산량은 전년대비 0.9% 증가한 7억 5700만 톤, 소비량은 0.3% 증가한 7억 4170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교역량은 전년대비 1.4%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었다. 기말재고량은 전년보다 6.1% 늘어난 2억 6800만 톤, 기말재고율은 36.1%가 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2017/18년도 옥수수 소비량은 소폭 증가하나 생산량, 교역량, 재고량은 대폭 감소 전망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10억 4460만 톤으로 전년대비 2.9% 줄어들지만 소비량은 10억 6670만 톤으로 전년대비 0.4%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어 소비량이 생산량을 약 2220만 톤 정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기말재고량은 2억 660만 톤으로 전년대비 9.7% 줄어들고 재고율도 전년대비 1.1%p 하락해 19.4%가 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2017/18년도 대두 생산량은 감소하지만 소비량, 교역량, 재고량은 증가 전망
세계 대두 생산량은 전년대비 0.8% 감소된 3억 4860만 톤, 공급량은 3.7% 늘어난 4억 4510만 톤 수준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소비량은 전년대비 4.4% 늘어난 3억 4450만 톤으로 전망되었다. 소비량이 늘어남에 따라 교역량도 전년대비 3.3% 늘어나 1억 5220만 톤에 이를 전망이다. 재고량은 전년대비 2.2% 증가하지만, 기말재고율은 전년보다 0.7%p 줄어든 28.6%로 전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