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KREI I-zine

[KREI i-zine 893호] 농식품 수출 확대 위해 맞춤형 디지털화 전략 추진해야

291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게시일
2022.07.2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소식지
농식품 수출 확대 위해 맞춤형 디지털화 전략 추진해야

‘디지털 무역 시대의 농식품 수출 대응방향’ 통해 밝혀

전 세계적으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농식품의 디지털 무역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우리나라의 농식품 국경 간 전자상거래 규모 역시 빠르게 증가.

농식품 전자상거래가 전체 교역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고, 특정 품목과 국가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어 다양한 여건을 고려한 맞춤형 디지털 전략 필요.

‘맞춤형 디지털화 전략을 통한 농식품 수출 확대’ 위해 국제규범과 호환성 제고, 농식품 수출 지원 체계 디지털 전환, 디지털 기술 활용 역량 강화 필요.

[삶의 질 우수사례] 
안내초등학교
Win-Win Village & School
#마을학교 #마을연계교육 #마을돌봄
[KREI 논단] 
고향사랑기부금,
농촌 발전의 마중물 되길
내일신문 기고 | 2022년 7월 14일
김홍상 (KREI 원장)
[KREI 논단] 
행복한 도농상생 실천 모델,
귀농·귀촌
정책브리핑 기고 | 2022년 7월 11일
송미령 (KREI 포용성장·균형발전연구단장)
[KREI 논단] 
그린바이오와 농업의 성장
한국농어민신문 기고 | 2022년 7월 8일
김용렬 (KREI 농산업혁신연구부장)
[보도] 
대학원생 대상
KREI 논문경진대회 개최
“최우수상에 강민성 씨 수상”
주간농업농촌식품동향_Vol. 27
농가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주요 대응정책과 향후과제 외
[e-세계농업] 제15호 (2022년 6월)
베트남의 2022년도 농식품 수입 규정과 표준 외
2022년 여름배추·무, 건고추
생육 실측 2차 결과(2022.07.13)

최근 국제곡물 (밀·옥수수·콩)
가격 및 수급 전망
- 미 농무부 보고서를 중심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webadm@krei.re.kr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01, 061-820-2000
작성자
관리자
다음글
[KREI i-zine 894호] 기후변화 대응, 농업 정책 우선순위에 놓아야
이전글
[KREI i-zine 892호] 농산어촌 ‘관계인구’에 주목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