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KREI I-zine

[KREI i-zine 905호] 쌀 시장격리 의무화의 영향 분석

344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게시일
2022.10.1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소식지
쌀 시장격리 의무화의 영향 분석

2021년산 쌀 단경기 가격 급락 등을 계기로 국회에서는 양곡관리법 개정을 요구하였고, 쌀 과잉 공급 발생 시 시장격리 조치를 의무화하는 양곡관리법 일부개정안이 의결(9.15.)되었음
양곡관리법 일부개정안에서 규정한 대로 시장격리를 의무화할 경우 쌀 농가의소득 안정성이 제고되는 효과가 기대되는 반면, 수급 조절 기능 약화로 초과생산량 규모 및 재정 소요액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
초과생산량 증가로 시장격리이행에 따른 재정 소요액은 2022~2030년 기간 중 연평균 1조 443억 원으로 전망되며, 점차 늘어날 것으로 예상

[KREI논단] 
쌀문제 근본적 해법을 모색하자
농민신문 기고 | 2022년 10월 5일
김병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주간농업농촌식품동향_Vol. 39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 외
(계간)북한농업동향
이상기후와 북한농업, 그리고 협력과제 외
원예 관측 2022년 10월호
엽근채소, 양념채소, 과일, 과채 관측일보 발간
감자 관측 2022년 10월호
고랭지감자 생산량 평년 대비 증가 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webadm@krei.re.kr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01, 061-820-2000
작성자
관리자
다음글
[KREI i-zine 906호] 2021년 귀농·귀촌 동향과 시사점
이전글
[KREI i-zine 904호] 치유농업 활성화 위한 정책방향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