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동정&행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제24차 APAP(아시아·태평양농업정책) 포럼 공동개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9월 26일 일본 미야자키시 메리에게스 호텔에서 한국농어촌공사, 세계농정연구원과 함께 제24차 APAP(아시아·태평양농업정책) 포럼을 공동으로 개최했다.
이번 APAP 포럼은 아 ·태지역의 포용적이고 회복력 있는 농업 ·농촌개발을 위한 농식품 시스템 전환의 정책 및 연구과제를 논의하고 최적의 정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정책 포럼이며, 올해 제24차 포럼에서는 한국, 일본, 중국, 인도 등 아시아 ·태평양 지역 12개국의 전문가들이 모여 발표와 토론 세션을 진행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두봉 원장은 " Food and Energy Security at Risk: Challenges in an Era of Global Disorders"을 주제의 기조강연에서 글로벌 혼란이 심화되는 상황에 한국의 식량·에너지 안보 위기를 경고하고, 국제 협력과 회복력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첫번째 세션에서 서울대학교 김태윤 교수가 "Agri-food Industry with Green Biotechnology"라는 주제로 발표하고, 태국개발연구원 Nipon Poapongsakorn 선임연구원이 "지속가능한 식품시스템을 위한 아·태지역 연구 노력"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세번째 발표는 말레이시아 국제전략연구소 Larry C.Y.Wong 박사가 "농식품시스템과 회복력 있는 식량 생산을 위한 새로운 국경초월 정책 및 전략 조치" 에 대해 , 서울대학교 유기희 교수가 "실행가능한 포용적인 농식품시스템과 지속가능한 농촌개발에 있어서 국제개발협력"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차원규 국제협력실장은 "글로벌 복합위기로 빈곤과 굶주림 증대와 식량안보시스템과 SDG위협, 국제협력이 중요하지만 ODA자금의 세계적 급감, 자금확보를 위해 민간부문의 국제협력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두번째 세션에서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승준호 곡물경제실장이 "Policy Priorties for Strengthening Korea's Food Security" 발표를 통해 한국의 삭량안보정책으로 정책적 연계강화, 수요 기반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규슈대학교 Shoichi Ito 명예교수가 "Toward Further Transformation of Rice Policies in Japan: What is Really Happening and How Should It Be Managed”주제로 발표를 하고, 인도 P.K. Joshi 박사가 “농식품시스템 전환에 있어서 민간부문의 참여: 인도의 새로운 동향"에 대해 발표했다. 베트남 농업환경정책전략연구원 Troung Thi Thu Trang 부원장이 “포용적인 식품시스템을 위한 공공민간시민협력: 베트남 사례”에 대해 발표를 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미얀마 경제사회개발센터 Zaw Oo 센터장, APAP포럼 Sahat M. Pasaribu 부의장, 베트남농업농촌총연맹 Hoang Thi Dzung 사무총장, 미야자키국제대학교 Mohammad Malek 교수,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이승헌 원장이 토론에 참여하고, 포럼을 마무리 했다.
- 다음글
- 한국교통연구원 김영찬 원장 내원
- 이전글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지역 상생-ESG실천 활동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