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연구제안

균사체 배양액의 농업 적용을 통한 지속가능한 농업 생산성 향상 방안 연구

2025.09.08
10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카테고리
작성자
김보미
이메일
bomee.kim@mycel.earth
소속(기관명)
(주)마이셀
과제성격
중장기 과제(전략적 대형 핵심과제)

균사체 배양액의 농업 적용을 통한 지속가능한 농업 생산성 향상 방안 연구

 

연구 배경 및 필요성

현재 우리나라 농업은 급속한 환경 변화와 다양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병해충 발생 패턴의 변화, 화학농약 과다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잔류농약 문제, 그리고 경작지 감소와 농업인구 고령화라는 구조적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농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화학농약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현실에서 친환경적이면서도 효과적인 대안 농자재의 개발은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균사체 배양액을 활용한 농업 기술은 매우 주목할 만한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균사체는 곰팡이의 영양 섭취와 생장을 담당하는 실 모양의 구조체로, 배양 과정에서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분비한다. 이러한 균사체 배양액에는 식물 생장 촉진 물질, 병원균 억제 물질, 토양 개량 효과를 가진 다양한 대사산물들이 포함되어 있어 농업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특히 누룩곰팡이속(Aspergillus sp.)을 비롯한 다양한 유용 균사체들은 오랜 기간 동안 발효 산업에서 안전성이 검증되어 있으며, 이들의 배양액을 농업에 응용할 경우 기존 화학농약과는 전혀 다른 접근 방식으로 농작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균사체 배양액의 농업 적용은 단순히 병해충을 방제하는 것을 넘어서, 토양 미생물 생태계를 개선하고 식물의 면역력을 강화하며 영양 흡수를 촉진하는 통합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과 친환경농업 육성 정책의 흐름에 맞춰, 균사체 배양액을 활용한 농업 기술은 국가 차원의 농업 경쟁력 강화와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적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균사체 배양액의 농업 적용에 관한 체계적인 경제성 분석과 정책적 지원 방안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해당 내용과 관련하여 제안서를 파일 형태로 첨부드립니다.

검토 부탁드립니다.


이전글
디지털 노마드와 농촌의 만남: 워케이션 빌리지가 만드는 농촌 르네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