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업부문 전망모형 KREI-ASMO 2004 운용·개발 연구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KREI-ASMO 구조 개요
제3장 KREI-ASMO 2004 모형의 주요 특징 및 가정
제4장 경지배분모형의 추정 및 탄력성 계측결과
제5장 쌀 생산비용함수 구성 및 추정결과
제6장 KREI-ASMO 2004 품목 및 총량모듈의 구조
제7장 KREI-ASMO 2004 안정성 평가
제8장 KREI-ASMO 2004 추가 보완사항 및 향후과제
부록
참고문헌
요약문
KREI-ASMO (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was developed by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 in 1995, and has been used to produce mid- and long-term outlooks of the Korean agriculture and to come up with various alternative policies. KREI-ASMO is a partial equilibrium model as well as a dynamic ex-anti simulation model for the Korean agricultural sector.
Especially, the model has been applied as a useful quantitative analysis tool to forecast demand-supply situation by commodity, to make agricultural outlook, and to estimate and analyze various policies.
KREI renews the statistical data-sets and improves the structure of the model every year to ensure the proper functionality of KREI-ASMO.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carried out annually.
KREI-ASMO can be divided into five sub-modules as follows:
1) the module for forecasting macro-economic variables;
2) the module for forecasting input-prices;
3) the module for cultivating sector outlook;
4) the module for livestock sector outlook; and
5) the module for forecasting agricultural total product value and total added value in agriculture.
Also, the model covers the imported commodities, such as rice, pulses, miscellaneous grains, oilseeds, red peppers, Chinese cabbage, white radishes, barley, garlic, onions, other vegetables, apples, Asian pears, grapes, tangerines, peaches, persimmons, beef cattle, dairy products, pigs, and chickens.
The main poi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eference year of the model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reference year in the national accounting system. And, according to renewed statistical data-set and change of reference year, each individual equation and module, such as acreage allocation module, rice production cost module, agricultural GDP and income module, and each commodity module, is re-estimated.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14238
-
좋아요0
-
다운로드12
같은 분야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미래농업 대응 신성장 산업의 성과와 정책과제
이정민2024.10.30KREI 보고서 -
공공형 계절 근로 시범사업 성과와 과제
엄진영2023.11.30KREI 보고서 -
2018~2022년 농가경제 심층분석
민선형2024.04.30KREI 보고서 -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김용렬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지역 청년정책 분석
김문길2023.12.30KREI 보고서 -
리빙랩을 통한 농촌 청년 실태와 요구 분석
마상진2023.12.30KREI 보고서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가축 사육단계 온실가스 감축 방안
이용건2023.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재정 세입 구조 개선 연구
김미복2023.10.30KREI 보고서 -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과제
박지연2023.04.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바이오 장기 생산 무균돼지 경제성 분석 (1차년도) : 바이오 장기 시장의 현황과 전망 및 경제성 분석 모델의 구축
- 이전글
- WTO 쌀협상에 대비한 TRQ 쌀 수입관리 및 국내유통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