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지방분권 추진에 대응한 농지관리사무의 효율적 처리방안에 관한 연구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농지관리사무 처리의 현황과 운용실태
제3장 농지관리사무의 특성과 국가/자치사무 구분 기준
제4장 일본의 농지 관련 법정수탁사무 및 농업진흥지역제도 운용 사례
제5장 결론: 농지관리사무의 효율적 처리방안
요약문
1996년 농지법이 시행된 이후 여러 차례 개정을 통해서 농지법령에 따라 농지 관련 사무의 일부를 지방자치단체에 위임하여 처리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지방분권촉진위원회는 기관위임사무 문제를 제기하면서, 기관위임사무를 폐지하고 자치사무화하거나 국가사무로 환원하는 등의 제도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농지 관련 사무의 기관위임사무 폐지시 효율적인 농지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미 일본은 2000년 기관위임사무를 폐지하고, 이를 지방자치단체의 자치사무와 법정수탁사무, 국가사무 등으로 재편하였다.
이 연구는 지방분권 촉진 등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농지관리 업무의 추진체계를 재정립하여 장기적으로 농업성장과 지역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농지관리 사무의 효율적 처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Since for the most part, local government's affairs were functions given from government named "delegated affair", local government performed the limited function as lower-administra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Recently decentralization has been applied on a large scale at all levels of government in Korea. As a result the current system(farmland administrative affairs) to preserve the farmland has several limitations due to such factors. One of factors is the ambiguity of the term "necessary acreage for farmland" to secure food supply, etc.
Successful decentralization of farmland administrative affairs requires re-adjusting their functions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one. Furthermore, the scope and process of decentralization can be altered to the way that the administrative function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re established. Recognizing the issues mentioned abo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ways to ensure the effective treatment of farmland administrative affairs under decentraliz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s designed in following frame. Chapter 1, introduction, including the purpose, scope, and methodology of study; Chapter 2,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farmland administrative affairs; Chapter 3, Characteristics of farmland administrative affairs and problems on the distribution among administrative tiers; Chapter 4, A case of Japan: bench- marking realities and re-adjustment; Chapter 5, suggestions on principles, criteria, and the procedure to adjust farmland administrative affairs.
Researchers: Hong Sang Kim and GwangSeok Chae
Research period: 2010. 4. - 2010. 9.
E-mail address: hskim@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5592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미래농업 대응 신성장 산업의 성과와 정책과제
이정민2024.10.30KREI 보고서 -
공공형 계절 근로 시범사업 성과와 과제
엄진영2023.11.30KREI 보고서 -
2018~2022년 농가경제 심층분석
민선형2024.04.30KREI 보고서 -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김용렬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지역 청년정책 분석
김문길2023.12.30KREI 보고서 -
리빙랩을 통한 농촌 청년 실태와 요구 분석
마상진2023.12.30KREI 보고서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가축 사육단계 온실가스 감축 방안
이용건2023.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재정 세입 구조 개선 연구
김미복2023.10.30KREI 보고서 -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과제
박지연2023.04.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캄보디아 농촌마을 소액금융지원 시범사업(1차 년도)
- 이전글
- 한-EU FTA 농업분야 국내영향 및 대 EU 수출가능성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