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2015담양세계대나무엑스포 타당성 조사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담양군의 지역여건 및 발전 잠재력 분석
제3장 대나무 가치분석
제4장 국내외 관련 사례 분석
제5장 기본구상 및 세부계획
제6장 방문객 분석
제7장 경제적 타당성 분석
제8장 정책적 분석
제9장 종합평가
요약문
세계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것과 동시에 지역의 특화, 지역적 차별화, 지역의 특수성도 함께 강조되고 있다. 이에 대한 지역의 대응 방안 중에 하나가 지역의 특성을 살린 지역축제의 개최이다. 더욱이 지역자원을 활용한 지역축제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의 활력화를 위해 좋은 대안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에 담양군에 준비하고 있는 「2015담양세계대나무엑스포」는 지역축제를 한 단계 향상시킨 세계인의 행사라고 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은 대나무 가치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 보통 대나무의 활용가치를 관상용, 죽세공품 및 죽순 요리 재료 정도로 생각한다. 그러나 대나무는 다른 수종보다 뛰어난 이산화탄소 흡수 기능으로 온실가스 절감을 위한 주요 자원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바이오매스, 섬유, 건강식품,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대나무가 단순 공예 재료가 아니라 자원 고갈 시대에 주목받는 ‘친환경 신산업 자원’으로 발돋움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이는 이유이다.
예부터 대나무의 고장이라 불리던 담양은 대나무의 문화‧예술적 가치뿐 아니라 대나무의 환경‧산업적 가치를 인식하여 ‘대숲에서 찾은 녹색미래’를 주제로 「2015담양세계대나무엑스포」 개최 계획을 갖고 있다. 올해로 13회째를 맞은 담양 대나무 축제 경험을 바탕으로 세계인을 대상으로 담양의 대나무를 알리고, 중국 등 타국과 교류를 통해 대나무 산업 활성화를 꾀하고자 계획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5담양세계대나무엑스포」 개최의 경제적 타당성을 종합적으로 검증하였다. 「기본계획」의 적절성을 검토하고 비용/편익 비율과 순현재가치를 통해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엑스포 개최에 따른 전남 지역과 담양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도 추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easibility of the 'Master Plan of 2015 Damyang World Bamboo Expo, Korea' and to analyze the following economic effect.
Key details of this study include an analysis of conditions of the bamboo industry in Damyang, examination of the master plan for the Expo, estimate of visitors, and examination of feasibility. To this end, we used existing data and statistics, and estimated the demand by means of survey for people's traveling and questionnaires for ordinary Koreans. For examining financial feasibility for hosting the Expo, BC ratio (Benefit-Cost Ratio) and NPV (Net Present Value) was applied. For estimating the economic effect following the Expo, the effect on all over the country and the Jeon-nam Province was analyzed, using the MRIO (Model of Regional Input-Output).
A theme of the 「2015 Damyang World Bamboo Expo, Korea」 is 'The Green Future found in Bamboo Wood' and a purpose of the Expo is to revisit the value of bamboo and the vision of Damyang's future. Damyang is known for the best place for bamboo's growth and the cultivation-area of the bamboo in Damyang is about 1,797 ha(25.5% nationwide).
In an analysis of economic feasibility test, both the financial feasibility and the economic feasibility show more than 1.0 BC ratio. Specifically, with the net effect of Expo, the economic feasibility test shows 1.48 BC ratio and 5,671 million won NPV. Furthermore, the Expo feeds through Damyang's regional economies with production induction effect, value-added induction effect, and employment induction effect. The amounts of regional effects are 192.9 billion won, 85.2 billion won, and 5,801 persons, respectively.
In summary, the 「2015 Damyang World Bamboo Expo, Korea」 was analyzed profitable in general. Residents in Damyang expects the Expo to bring vitalities into their hometown. The Expo is high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plan of Damyang and to the bamboo industries in the area.
Researchers : Yong-lyoul Kim, Kyeong-hwan Choi, Jun-pyo Hong, Ji-eun Lim
Research period : 2011. 5 ~ 2011. 9
E-mail address : kimyl@krei.re.kr, kyeong@krei.re.kr, jhong@krei.re.kr, jelim@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3018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현장 중심의 농촌재생 모델 개발 실증연구(2/5차년도)
성주인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에서 청년의 역할을 고려한 일자리 정책 구상
강마야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 (5/10차년도)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현장에서 찾은 농촌재생 – 농촌재생 모범사례 10선
심재헌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사례 DB 구축 및 농촌재생 적용사례 대상 모니터링 및 분석·평가 방법론 개발
진장익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모델의 현장 실증을 위한 리빙랩 방법론 및 도구 개발 연구
오형은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4/10차년도)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2023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쌀 생산 및 소비량 통계 개선방안
- 이전글
- 축산업 선진화 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