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업부문의 청정에너지 생산·이용실태 분석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업부문 청정에너지 정책 및 제도
제3장 농업부문 청정에너지 이용현황
제4장 농업부문 청정에너지원별 생산·이용 사례 분석
제5장 농업부문 청정에너지원별 경제성 분석
제6장 농업부문 청정에너지 생산·이용 확대를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제7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청정에너지는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은 깨끗한 에너지로써 자연친화적이고 재생가능하다. 또한 고갈의 위협에 직면해 있는 화석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청정에너지가 확대 보급될 경우 고유가에 의한 경영비 압박을 해소하고, 농업부문에서 발생하는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관심이 높다.
농업부문에서 이용할 수 있는 청정에너지로는 현재 지열 및 공기열, 바이오가스, 목재펠릿 등이 있다. 이들 에너지원은 경제적, 환경적 측면에서 많은 직간접적인 편익을 제공해 주기 때문에 향후 대체에너지원으로서 크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아직은 초기 시설설치비의 부담과 운영 시스템의 미정착, 이용효과의 불확실성 등 여러 문제로 인해 이용이 활발하지 못하다.
그럼에도 농업·농촌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지역 특성을 고려한 환경 친화적 에너지원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궁극적으로 에너지 자립을 지향하는 청정에너지의 보급 및 이용확대에 대한 연구와 사회적 실천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농업부문에서 생산·이용하고 있는 청정에너지원별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청정에너지원별 사례조사를 통해 경영성과를 분석하고 청정에너지 보급확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Clean energy can be used for farming activities and replace fossil fuels. In Korea, geothermal and air source heat pumps, biogas plants, and wood pellets are currently available for use in the agriculture sector. These energy sources ar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uture as they can provide direct and indirect benefits in terms of economy, productivity, and environmental aspects.
The main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urrent shape of clean energy use in the agricultural sector and find out problems of management through research and case studies. Also, we present a few suggestions to improve the production and use system.
The government plans to expand the use of clean energy as an alternative energy source to replace fossil fuels and, as part of this plan, it is promoting various pilot projects and policies such as the low-carbon green growth policy.
According to a survey of farmers, the economy of geothermal and air source heat pumps is higher than that of the currently used fuels. The survey has also found that although wood pellets are economically infeasible because of high raw material cost, they ar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productivity and quality.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itial installation cost is high due to lack of technical skills related to construction and operation, and the effect of its use is highly uncertain. Especially because there is no infrastructure for installation, operation, and follow-up control of clean energy facilities, the production and use of clean energy is limited.
Therefore, efficient support policies are most important to maximize clean energy utilization.
First of all,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alternative energy projects should be expanded by increasing the support scale of the central and provincial governments. Also, government support should be focused on lowering the initial raw material and installation cost and developing clean energy technology rather than on machinery and equipment.
The economic feasibility of operating a clean energy facility should also be raised by increasing the technology level through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it is necessary to foster a professional supplier who can build a batch system for overall operation of the facilities from integrated design and construction to farm monitoring and after-sales services.
Finally, in order to maximize the use of clean energy in agricultural and rural secto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renewable energy systems that are unique to a region. The self-sufficient resource-recycling agriculture that best uses local resources can produce ripple effects in downstream and upstream sectors of the economy, including not only reduction of carbon dioxide but also increase in energy security, stimulation of local economy, creation of jobs, and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Researchers: Hyun-Tae Park, Hye-Sung Han
Research Period: 2011. 1~2011. 11.
E-mail address: htpark@krei.re.kr, funny1978@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4107
-
좋아요0
-
다운로드39
같은 분야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종자·마이크로바이옴 기술과 관련 제품의 수요자 인식 및 구매 의향 조사 결과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탄소중립농업 추진을 위한 바이오투입재 이용활성화 방안
임영아2024.10.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실태와 정책과제
박지연2023.12.31KREI 보고서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종합본(2021-2023)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영농형 태양광 도입의 경제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정학균2023.11.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3/3차년도)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주요국 미세먼지 저감농업 정책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데이터 기반 구제역 항체양성률·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요인 분석
박문수2023.12.30KREI 보고서 -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 방안 연구(2/2차년도)
송우진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촌지역의 청정에너지 생산·이용 시스템 구축 방안
- 이전글
- 청정에너지의 산업 동향 및 농업부문 확대 가능성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