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해외곡물시장 동향과 해외곡물시장정보체계 구축방안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해외 곡물시장의 동향과 시사점
제3장 해외 곡물선물시장의 관련 정보 현황
제4장 해외 곡물시장의 관련 정보 현황
제5장 해외곡물시장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방안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최근 곡물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자원제약, 유가변동 및 기후변화 등의 요인으로 국제 곡물시장의 불안정성이 지속되고 있다. 국제 곡물가격의 상승은 우리나라와 같은 수입국의 입장에서 곡물수입에 더 많은 비용을 지출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곡물가격의 변동성 확대는 보다 큰 가격변동 위험에 직면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우리나라의 세계 곡물시장에 대한 정보는 해외 관련 기관이나 언론사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해외기관으로부터 입수하는 정보는 단편적이고 2차적인 자료로, 해외곡물시장의 동향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어렵다. 따라서 해외곡물시장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보급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해외곡물시장의 변동 상황에 대한 신속하고 체계적인 파악과 분석을 위한 정보시스템의 구축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궁극적인 목표는 해외곡물시장의 변동 상황에 대한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정보를 적시에 제공할 수 있는 해외곡물시장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국제곡물시장의 변동과 관련된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해외시장 정보를 포괄할 수 있는 단계적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Recent surge in international grain price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bsolute price level, along with expanded volatility in grain pric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mporting country such as Korea, the rise in international grain prices level and volatility means more money is required to import grains with greater risk.
On the other hand, our current information on the world grain market is largely dependent on the foreign agencies and media. Since our current information is mostly fragmented and secondary materials, it is difficult to identify and proactively deal with the sudden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grain market.
For the purpose of building new information system to effectively analyze and efficiently disseminate the information on changes in international grain markets, current major information systems of the futures markets such as CME and government agencies such as U.S. and FAO are systematically analyzed as the initial step. Based on that, this study provides establishment plan to build our new information system that can provide our proactive assessment and future prospects on the world grain marke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stablishment plan to build information system for the quick identification and systematic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grain market situation. The ultimate goal is to establish the world grain information system that can provide comprehensive and detailed information on the international grain market fluctuations in a timely manner.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the information related with the international grain market fluctuation is systematically classified and the step-by-step building measures are provided.
In order to establish efficient grain market information system, we need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and analyze piecemeal changes in the individual market in terms of overall international grain markets. From this perspective, we need to establish new information system to provide the basic supply and demand information on a regular basis at the early stage of building process. Based on this, the phased plan should be set out to extend it for the more detailed market information step by step. Ultimately, our new information system should provide the comprehensive and detailed information on the international grain market in a timely manner
The new information system should be operated by the so-called 『food security Commission』that consists of government agencie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industry experts. We also need evaluation mechanisms on the established information system. In addition, the new information system should be able to reflect any suggestions and comments.
Researchers: Myung-Hwan Sung, Dong-Gyu Park, Dae-Heum Kwon, Woong-Yun Lee, Yoon-Hee Kim
E-mail address: mhsu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3346
-
좋아요0
-
다운로드24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지역경제모형(KREI-REMO)에 기초한 농촌지역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
- 이전글
- 채소 수급 및 가격안정화 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