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수산자조금법 제정에 따른 원예자조금 활성화 방안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원예 분야 의무자조금 현황 및 문제점
제3장 자조금 해외사례
제4장 의무자조금 제도 발전방안
제5장 결 론
요약문
최근 농산물 무역 및 유통환경은 WTO, UR타결과 동시다발적인 FTA체결 등으로 급변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 가운데 정부가 시장에 직접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여지가 줄어들고 있다. 농산물 무역 및 유통환경변화로 생산자 단체들의 자율적인 시장대응 능력이 중요해지고 있다. 농축수산물 분야의 품목별 자조금 조성을 위한 정책은 1990년도부터 시도되어 왔다. 축산부문 자조금은 국내 최초로 1990년에 법제화가 이루어져 현재 활발하게 추진 및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원예부문의 자조금은 생산자 및 생산자 단체의 인식부족 등으로 활성화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원예 분야에서 의무자조금 단체가 필요한 이유는 정부의 역할이 수급안정, R&D 분야, 생산자 단체 및 마케팅 조직 육성 등의 분야에 한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품목의 모든 경제주체를 만족시킬 수 있는 정책 추진이 어렵기 때문이다. 향후 FTA 등 세계 무역자유화가 추진되면서 정부의 시장개입 여지는 점차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원예분야도 생산, 유통, 소비 등과 관련된 중요하고 다양한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의무자조금 단체가 출범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원예 분야에 의무자조금 제도가 도입될 경우 ‘농수산자조금의 조성 및 운용에 관한 법률’을 현 실태에 적합하게 개선하기 위하여 문제점 및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진은 원예 분야 의무자조금 도입과 법률적인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분석하기 위하여 여섯 가지 이슈를 중심으로 국내 및 해외사례, 선행연구를 참고하였다.
In the field of agricultural sector, policies for composing checkoff programs by groups of item have been carried out several times since 1990. For example, including articles about checkoff program in Rural Development Act on Special Measure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Checkoff programs of livestock sector was legislated. In the field of swine, hanwoo(korean cattle), poultry, dairy, checkoff programs are being actively promoted.
On the other hand, it was started to enforce checkoff programs in horticultural sector by the law of ‘Agricultural and Fishery Marketing and Price Stabilization Act’. In 2009, businesses of representing groups separated by items was promoted so as to vitalize checkoff programs in horticultural crop sector. A lack of awareness of producers and producer organizations, However, hindered activation of checkoff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f existing representing groups separated by items and groups of checkoff programs in horticultural sector adopt mandatory checkoff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ir own items, in that case,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observe problems and alternatives found in the law of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Agriculture, Fisheries checkoff program’ in order to change the law to fit in the current status of horticultural sector.
The law of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Agriculture, Fisheries checkoff program', however, is scheduled to be conducted on February 23, 2013, because it is the initial step, characteristics of the horticultural sector was not specifically reflected.
with respect to introducing the law, six key issues are becoming important, which are ‘selecting target group who are contributed in mandatory checkoff program’, ‘sanctions when unpaid to mandatory checkoff program’, ‘expertise and independent status of bureau of mandatory checkoff program’, ‘subsidizing operation cost of bureau’, ‘evaluation of checkoff program’. In this study, those issues are analyzed by researching similar cases from abroad and previous study. Then, it is proposed that several ways of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enforcement of the law.
In chapter 2, legal considerations after introduce mandatory checkoff program are investigated. Current status and challenge are investigated. Then, implications are suggested.
In chapter 3, overseas cases of checkoff program are examined. Those cases from the five countries of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the Netherlands, New Zealand, Australia, were surveyed. Overall cases are summarized in two point of view. One thing is that, in those five countries, commonly, they have focused on raising the size of the market in cooperation with economic entities established by groups of items. Another one is that they added a provision for checkoff program in related laws to emphasize the obligations and right to join in checkoff program. Also, their governments have continually conducted the role of management and supervision and distributed benefits generated from running checkoff program.
In chapter 4, measures for developing checkoff programs are analyzed. Suggested 6 key issues about mandatory checkoff program earlier, anticipated problems after operating checkoff program by each issue are reported and improvement measures are proposed. Futhermore,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are reviewed comprehensively to examine whether those are formed properly to legislate or not.
Consequently, checkoff program in horticultural crop sector, because there exist a lot of distribution channel and lack of awareness about checkoff program, organizing producers, and vertical integration for combining marketing organization unlike livestock sector, it will be difficult to introduce checkoff system in short period. In spite of this limitation,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mandatory checkoff system in Korean horticultural sector, as promoting policies that can satisfy all of economic participant is difficult in a situation where the government's role is limited within five field, stabilization of demand and supply, fostering R & D, promoting producer and marketing organization. Overcoming current limitation of government policies, it can be expected that checkoff programs are widely used such as abroad cases from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the Netherlands, New Zealand, Australia.
Finally, the basic direction of government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activating mandatory checkoff system. There are 4 basic directions proposed, voluntary participation of producers and producer organizations, system ensure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policy initiatives, contribute to improve competitiveness of specific item, lead development of organizations through selection and concentration.
Researcher: Choi, Byoung-Ok
E-mail address: bochoi@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7629
-
좋아요0
-
다운로드7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도시농업의 다원적 기능과 활성화 방안 연구
- 이전글
- 2012년 OECD 농식품 분야 연구결과 국내반영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