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식품분야 생명산업 현황 및 발전방향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생명산업의 현황 및 시장규모
제3장 생명공학기술 수준 및 개발방향
제4장 생명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산업화 방향
제5장 생명공학 관련 법·제도 및 관리체계 개선방안
제6장 생명산업의 발전방향
제7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생명산업은 고령화시대에 대응한 국민 건강 및 복지 향상, 농업, 환경, 에너지 문제 등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성장 가능한 산업이다. 생명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기존의 농업기반기술과 생명공학기술이 접목되어야 하며, 생명자원을 담당하고 있는 농업의 중요성이 부각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식경제부에서 다루고 있는 생명산업은 제조업 중심으로 농업의 역할을 과소평가되고 있다. 생명산업에서 이용되고 있는 소재가 대부분 농산물에서 추출되고 있는데 농업관련 종자, 작물, 축산업, 화훼, 수산업 등 1차산업이 모두 제외되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생명산업의 범위에 1차산업을 포함하여 농업중심으로 그 범위를 확대하여 농업의 역할과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생명산업의 발전은 농업의 발전, 더 나아가 농업소득 증대와 연계하기 위해 농업을 중심으로 생명산업의 분류를 새롭게 시도하였다.
농업 생산물을 농업에 이용하는 생명산업(농생명 식량산업), 농업 생산물을 비농업에 이용하는 생명산업(농생명 소재산업), 비농업 생산물을 농업에 이용하는 생명산업(농생명지원 식량산업), 비농업 생산물을 비농업에 이용하는 생명산업(농생명지원 소재산업)으로 분류하여 농업이 생명산업에서 주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 연구는 생명산업 영역에서 농식품분야의 위치를 파악하고, 생명산업에서 농업의 역할 등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 of Research
Agriculture plays a major role in bioindustry in that most of the essential raw materials that are used for development of the industry are extracted from by-products of agriculture. The main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bioindustry in the agri-food sector, analyze investment and market size, technology level and technology development trends and suggest ways of developing bioindustry in the agri-food sector.
Method of Research
Bioindustry in the agri-food sector can be classified into four industry branches: Agro-Green Industry, Agro-Blue Industry, Fusion Agro-Green Industry, and Fusion Agro-Blue Industry. Also, an economic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 variety of analytical methods such as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and the Delphi technique.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The types of investment in bioindustry in agriculture vary among government departments.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vests mostly in industry infrastructure, wherea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nd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are focused on investing in industry applications and production.
The total market size of bioindustry in the agri-food sector increased 14% in 2010 from 2008. Also, the technology level of 7 industries promoted by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tands at about 66~68% level of developed countries and it is expected to increase to 80~82% level in 2014.
According to the biotechnology patent activity index, the technology level jumped to the eighth place globally in 2010 from the 15th ranking in 1990. Also, a total of 93 agricultural patents were issued in 2010 by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nd this represents a growth of almost six times from 1990.
It was also found that bioindustry in the agri-food sector has great ripple effects. The market size is huge and the effects on inducing production and creating added value and jobs are also enormous.
According to an AHP analysis conducted among experts, it was found that priority strategies for development of bioindustry in the agri-food sector are as follows, in order of urgency: bioindustry-related technology development(0.57), improvement of legal system and policy (0.29) and market expansion(0.15).
First, the technology development of bioindustry should be focused on development of bio-resource appl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 of evaluation capacity in association with bio-safety and bio-efficacy, development of technology related to analysis and use of genetic information, and development of genetic modification technology. In addition, bioindustry is a labor-intensive industry and thus it requires relatively skilled workers.
Second, related laws and institutions should be improved to be in tune with the changing times. The work-overlapping problem is serious among different government ministries, and for this reason role division and collaboration of related ministries should be expanded to solve the problem.
In conclusion, the top priority of the government should be placed on creating a favorable business environment for investors and on advancing commercialization of the technology and marketing of the product.
Researchers: Yean-Jung Kim, Hye-Sung Han.
E-mail address: yjkim@krei.re.kr, funny1978@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7719
-
좋아요0
-
다운로드84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농어업부가가치의 새로운 창출을 위한 식품산업의 중장기 발전전략(4/5차 연도)
- 이전글
- 녹색성장에 대응한 중장기 산림정책 추진전략(1/2차 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