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촌 공동시설의 유휴화 실태와 활용 증대 방안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농촌 공동시설의 개념과 논의 과제
제3장 농촌 공동시설 활용 및 유휴화 실태
제4장 농촌 공동시설 활용의 문제점과 정책 수요
제5장 농촌 유휴시설 활용의 국내외 사례
제6장 농촌 공동시설 이용 활성화 및 유휴시설 활용을 위한 정책 방안
요약문
정부 주도하에 농촌정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지난 수십 년간 우리 농촌에는 농업생산, 주민생활, 소득증대 등과 관련된 다양한 공동시설이 공급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시설은 공급 당시 우리 농촌의 사회·경제적 필요를 반영한 것이어서 지난 세월의 변화 속에서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시설이 되었거나, 필요하더라도 시설 유지·관리의 어려움, 새로운 서비스 공급에 대한 수요 등으로 저활용되거나 유휴화된 경우가 적지 않다. 이러한 저활용 및 유휴 공동시설은 자원의 낭비, 유지·관리를 위한 비용 지출, 농촌 공간관리의 어려움 등으로 농촌 지자체는 물론 지역사회와 농촌 주민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 상황하에서 본 연구는 농촌에 분포하는 공동시설의 활용을 증대하고 이미 유휴화된 공동시설의 재활용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의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조사, 현장조사, 전문가 의견 청취, 통계분석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다차원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농촌 공동시설 이용 활성화 및 유휴시설 활용을 위한 정책의 기본 방향으로 농촌 공동시설 활용에 대한 지자체 권한 강화, 농촌 공동시설 활용에 대한 지역사회 참여 강화, 지속가능한 농촌 공동시설 이용 방안 마련, 중앙정부 차원의 제도 정비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또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 과제로 공동시설 이용 촉진 및 유휴시설 활용 계획 수립 의무화, 지자체별 농촌 공동시설 관리 위원회 운영, 농촌 공동시설 관리·운영 예치금제도 도입, 농촌 공동시설 운영 주체로서 제3섹터 조직 활용, 농촌 커뮤니티버스 운영제도 도입, 농촌 공동시설 관리 및 활용에 대한 표준 매뉴얼 개발 및 보급 등을 제안하였다.
Background of Research
A lot of public facilities related to agricultural production and daily life have been established in rural areas since the government launched rural policies. Most of these facilities were provided by the government during past decades. However, hese public facilities have not been fully and functionally utilized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nges. These idle facilities have caused such problems as waste of resources, rising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sts, and increased burden of rural spatial management. These become burdens to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rural commun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pict alternatives for utilizing existing public facilities and reusing idle facilities.
Method of Research
We applied two research methods to analyze the following aspects of public facilities in rural areas: distribution status, degree of utilization and idleness, the problems hindering utilization, and policy tasks. First of all, we used the regional survey data of the Census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these facilities. For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in the utilization and the policy tasks for improved utilization, we conducted a survey of 321 rural residents who live in eups and myons.
In addition, 94 village leaders of four chosen myons were surveyed. Also we conducted field surveys and interviewed experts. Literature reviews were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foreign countries' cases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The highly utilized rural public facilities are meeting facilities such as village centers and the town halls for elders, public healthcare facilities, cultural and leisure facilities in more populated areas, childcare and educational facilities for children, agricultural processing facilities and so on. The underutilized facilities, on the other hand, are children's playgrounds, parks, sports facilities, cultural and leisure facilities in less populated areas, educational facilities for adults, warehouses, and so on. The major reasons for idle facilities or low utilization are shortage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funds, remote location and uncomfortable transportation, and lack of experts and managers providing the related services. The policy tasks for invigorating the use of rural public facilities are integration and provision of multiple functions, procurement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funds, expansion of affiliated facilities and equipment, provision of transportation,
remodeling of old facilities, and so on.
The public facilities that are in great need of remodeling or reconstruction are in large part community facilities. Since the need for spatial distribution of public facilities varies among different types of the facilities, we can suggest a spatial distribution plan centering around only essential facilities for each level of administrative districts. Also, in relation to the functional integration of the facilities, we developed two strategies: one that combines the functions of three or more facilities and the other that combines the functions of two facilities. Four basic policy directions are set up for reinvigorated use of rural public facilities: first, empowerment of local governments; second, reinforcement of community participation; third, formulation of a plan for sustainable public facility utilization; and fourth, rearrangement of laws and institutions. We suggest several policy tasks in tandem with the basic policy directions: mandatory planning for public facility utilization; operation of public facility management board in all local governments: introduction of a deposit system for management of public facilities; the third sector's participation as the management entity; introduction of rural community buses; and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a standard manual for utilizing public facilities.
Researchers: Kwang-Sun Kim, Gyu-Cheon Lee
Research Period: 2012. 1~2012. 12
E-mail address: yeskskim@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0798
-
좋아요2
-
다운로드216
같은 분야 보고서
-
모두에게 열린 기회가 되는 농어촌 만들기: 2024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 컨퍼런스
KREI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공동체 활성화 방안
이순미2024.10.30KREI 보고서 -
다채로운 농촌의 삶을 기록하다 : 2024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우수사례집
KREI2024.12.12KREI 보고서 -
제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종합평가
한이철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 주도 사회서비스 정책의 발전 방안 : 생활돌봄을 중심으로
김정섭2023.11.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김정섭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김정섭2023.10.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촌관광의 새로운 방향과 정책과제
- 이전글
- 농업부문 자조금 운영실태와 개선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