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자재산업의 산업연관분석과 가격변화 영향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산업연관분석과 가격변화 영향의 이론적 배경
제3장 농자재산업의 산업연관분석
제4장 가격변화의 농자재산업과 농업부문 영향 분석
제5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농자재산업은 하나의 독립적인 산업으로서 의미도 있지만, 농업의 발전을 지원하는 필수 기간산업으로서 미래 농업발전의 필요충분조건을 제공하는 산업이라는 측면에서 보다 중요한 의미가 있다. 또한 농자재산업은 농업노동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으며, 실제 농업발전의 핵심적인 기술도입과 활용의 대상이 바로 농자재산업이었다.
농자재산업이 농업부문의 발전을 위한 중요한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정책의 우선순위에서 뒤로 밀려나 있었으며, 농자재산업과 농업부문이 어떤 연계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농자재산업이 전·후방으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한 연구도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더욱이 농자재산업은 국제 원유 등의 가격변화에 민감히 반응하고, 이는 곧 농업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지만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도 부족하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농자재산업과 농업부문과의 전·후방 연계 구조를 파악하고, 농자재의 비용과 국제 원유 등의 가격변화가 농자재산업과 농업부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농자재산업의 중요성을 입증하고자 수행되었다.
Background of Research
This study used an input-output analysis model to analyze front and rear correlations of agro-material industry and agriculture sector, and industrial correlations of agro-material industry and agriculture sector were mathematically measured.
Method of Research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level of influence of the cost changes in agro-material industry and increase in international crude oil price and domestic petroleum products prices to see how much they affected the costs of agro-material industry, agriculture sector and other industries including agriculture. From the analysis conducted focusing on production inducement model,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The result of front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taking agro-material industry as a center revealed that in most cases the remaining agro-material industry except fertilizer industry did not use the products from agriculture as intermediary goods. The result of analysis carried out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demand for 100 million won was increased using exogenous variable of agro-material industry sector revealed that the influence of nitrogen compound to production increase of its own sector and other industry sectors was the biggest among agro-material industry.
A secondary analysis of demand-not-served effect was attempted using a supply side model. The result of analysis revealed that nitrogen compound of the agro-material industry has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whole industry including agriculture and food and beverage industry and that the decrease in supply of nitrogen compound equivalent to 100 million won would cause decrease in production by 95 million won throughout overall industry.
Out of added value items, the ripple effect of the changes in manpower cost to the prices of the products of its own sector was measured. The result of analysis revealed that seed and seedling sectors were mos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hanges in its own sector's employee compensation while the sector which was affected least was agricultural pesticides sector.
Next to feed industry, fertilizer, nitrogen compound, agricultural pesticides, agricultural machines, seed and seedlings were high in order of influence.
In this thesis, we also attempt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price increase of domestic petroleum products and imported crude oil to whole domestic industry including agro-material industry. In case domestic petroleum product(fuel oil) price increases by 10%, the product which is affected the most in agro-material industry is nitrogen compound resulting in a price increase of 6.37%. Following nitrogen compound were fertilizer(increase by 0.54%), agricultural machinery, seed and seedling, agricultural pesticides and feed in order of price increase.
Researchers: Hyun-Tae Park
E-mail address: htpark@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3852
-
좋아요0
-
다운로드71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작물보호제산업의 동향과 발전 방안 : 안전성 관리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 이전글
- 농림업 후방연관산업의 전략적 발전방안: 작물보호제와 무기질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