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작물보호제산업의 동향과 발전 방안 : 안전성 관리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작물보호제 산업의 동향과 안전성 문제
제3장 유통이전 단계의 작물보호제 안전성 관리와 문제
제4장 작물보호제 사용・사용 후 안전성 관리와 문제
제5장 작물보호제 안전성제고를 위한 단계별 개선방안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농업에서 작물보호제(농약)는 농작물을 병해충으로부터 예방하거나 구제하여 생산성과 품질을 유지하는데 커다란 기여를 하였지만 독성으로 인한 위험성을 유발하는 양면성이 있다. 현실농업에서 작물보호제는 방제의 대부분을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농산물의 생산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식물의약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지속가능한 농업이 미래가치의 중심이 되면서 잔류 농약문제, 독성문제, 오남용으로 인한 사건․사고 등 부정적인 부문이 대중매체를 통해 부각되어 작물보호제에 대한 시각은 재조명받고 있다.
친환경적인 농업지향과 건강, 영향, 환경을 중요시하는 웰빙 소비트렌드를 반영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작물보호제의 위험성을 최소화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 연구는 작물보호제의 안전성 증대를 위해서 작물보호제의 생산에서 사용까지 안전성과 관련된 평가지표를 토대로 각 단계별 현안 이슈를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Background of Research
It is essential that crop protection materials help prevent diseases in farm products in order to maintain productivity and quality. There are two sides to chemical pesticides because they can cause pollution with high levels of toxicity. It is essential to secure the safety of crop protection materials for eco-friendly agriculture.
The main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urrent issues related to crop protection materials, that is, from production to consumption, and then suggest management improvement plans for safe use and disposal of crop protection materials.
Method of Research
This study investigated test laboratories and manufacturing companies of crop protection materials including biological control agents. Questionnaire and field surveys of labeling experts, farmers, academic researchers and industry professionals were conducted. Also, an economic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 variety of analytical methods such as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Bruce Merrifield-Ohe(BMO),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nd the actual inspection guideline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improvement plans are as follows:
First, crop protection materials test laboratories are in cutthroat competition against each other and the problem is that they are poorly managed and their management is unsystematic.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strictly manage and provide policy support to the test laboratories. It is a matter of urgency that operating guidelines are provided and disseminated to them for widespread use.
Second, the issue facing the manufacturing companies is that although their awareness of safety is rather high as the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new biological and low toxic pesticides, Korea's technology level is low compared to developed countries and the burden of developing new technologies is too high for them. They express that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aid for R&D and training of technical experts.
Third, labeling of crop protection materials is incoherent among manufacturers and containers. In many cases, labeling was not properly carried out both in terms of form and content, and it does not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efficiently. Thus, there is a need to reorganize the labeling system and standardize the labels.
Fourth,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incentives and education programs to farmers and at the same time engage in PR activities so that they can better comply with the regulations.
Fifth, farmers should strive to minimize the pollution of surrounding areas of their farms when they spray crop protection materials. Korea needs to prepare regulations and guidelines for airplane spraying before it becomes widely used. In addition, incentives should be expanded to induce farmers to report their use of the chemicals when using small amount. As in developed countries, the government should strengthen the regulations on small amount use of the chemicals and provide incentives and support.
Finally, in order to relieve the inconvenience farmers experience during the management stage, a systematic collection system should be set up to pick up empty containers and dispose the residuals. In this regard, the government should take the lead and raise the awareness of farmers and manufacturers on the need to collect empty containers and dispose the residuals.
Researchers: Chang-Yong Kang, Hye-Sung Han.
E-mail address: cykang@krei.re.kr, funny1978@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6732
-
좋아요0
-
다운로드117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무기질비료산업의 동향과 발전 방안 : 공급체계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 이전글
- 농자재산업의 산업연관분석과 가격변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