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지상속 실태와 정책 과제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농지상속제도와 문제점
제3장 농지상속과 농가승계 현황
제4장 농지상속 관련 외국 사례
제5장 농지상속제도 및 정책 개선방안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상속제도는 사유재산 제도와 궤를 같이하고 있다. 하지만 농지상속은 일반적인 재산상속과는 차별화된 의미가 있기에, 여러 선진국에서는 농업경영규모의 영세화 방지와 건전한 가족농 육성을 위해 다양한 상속지원 제도와 정책적 개입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농업은 가족농을 근간으로 삼아왔다. 하지만 산업화 과정에서 많은 수의 농가 자녀가 도시로 이동하면서 가구원 수가 감소하였고, 이 때문에 농촌사회에서 농가의 가족 형태는 점차 독신가구나 핵가족의 형태로 바뀌면서 농가의 지속성이 취약해지고 있다. 영농승계 인력이 부족한 상태에서 기존 농업인의 은퇴나 사망은 비농민 농지소유의 확대로 귀결된다.
우리 농촌 사회는 이미 2010년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상태이다. 게다가 1995년 이후 영농규모화사업 지원 등을 통해 영농규모를 확대한 전업농가들이 점차 고령화되면서 경영규모를 축소해 나가고 있다. 따라서 정책적 지원으로 육성된 농가들이 은퇴 후 임대, 상속형태로 농지를 분산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농지상속 실태를 조사하여 지속 가능한 농업경영 측면에서 바람직한 정책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Background of Research
This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actual state of farmland inheritance and presenting desirable improvement methods in the aspect of sustainable agricultural management.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thods for stable management succession by inheritors or other farmers in the aspect of agricultural structure policy. Therefore,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include the problems, tasks, and methods of farmland inheritance for sustainable agricultural management.
Method of Research
In order to provide the improvement methods, the following steps are to be taken:
1) identify the actual state of farmland inheritance (in case of professional farmers versus general farmers and inheritors)
2) analyze its influence to agricultural management
3) derive tax matters related to it, and
4) provide the system for it, which supports successive farmers to be its beneficiaries and leads the people who are not farmers to use their inherited farmland with maximized efficiencies, and make policy improvements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The main contents of this paper are described in four chapters as follows:
In Chapter 2, we figure out the farmland inheritance system and its problems by reviewing the related laws. Then, we review the inheritance related systems, such as the Family Business Inheritance Support System and the Agricultural Management Inheritance Support System.
In Chapter 3, we discuss the actual state of farmland inheritance and farmer succession, and also their problems. At first, by using the data from the nationwide statistics, the trend of farmland inheritance and the actual state of farmer succession are reviewed. Especially in regard to farmer successi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major inheritors are analyzed. Then, through a survey, the actual state of specific agricultural inheritance, inheritance intentions, etc. are identified.
In Chapter 4, we also discuss the case studies related to farmland inheritance in other countries. At first, agricultural inheritance laws in Germany, Japan and France are examined. The German system does not recognize division of farmland inheritance among sibling inheritors but recognizes the inheritance by only one sibling among them. In contrast, the Japanese and French systems are for the equal division of inheritance. Regarding the inheritance support system, we review case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Chapter 5 is for the farmland inheritance system and its policy improvement methods, including the vision, direction, and tasks for fulfilling sustainable agricultural management. The policy methods are, in large part, divided into two: the one which supports agricultural inheritance of successive farmers and the other which leads people who are not engaged in agriculture to maximize efficiencies of their inherited farmland.
Researcher(s): Gwang-Seok Chae, Seok-Doo Park
Research Period: 2012. 1~2012. 12
E-mail address: gschae@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9710
-
좋아요2
-
다운로드70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물가안정을 위한 축산물과 축산식품 유통체계 개선 연구(2/4년차)
- 이전글
- 무기질비료산업의 동향과 발전 방안 : 공급체계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