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촌 대중교통 및 도로체계 개선 방안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농촌 대중교통 및 도로체계 현황과 교통사고 실태
제3장 농촌 대중교통 및 도로체계 이용의 문제와 정책 수요
제4장 선진국의 농촌 대중교통 정책과 국내외 지역 사례
제5장 농촌 대중교통 및 도로체계 개선을 위한 정책 방안
요약문
우리 농촌은 인구의 지속적인 감소와 농촌 주민의 자가용 보유 증가 등으로 인해 대중교통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감소되어 왔다. 농촌에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버스운송사업자 역시 버스 이용 수요의 감소로 경영난이 가중되면서 버스 운행을 줄여가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농촌 대중교통에 대한 수요 감소가 농촌의 버스운행 감소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농촌 대중교통에 대한 수요 감소를 초래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대중교통 운영에 물적 기반을 제공하는 도로 인프라 역시 농촌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물론 그간 농촌의 도로 공급량이 꾸준히 증가해왔지만 양적 측면뿐만 아니라 질적 측면에서 농촌의 도로를 바라본다면 여전히 농촌의 도로 환경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더욱이 농촌 도로는 안전 환경의 미비로 교통사고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다. 교통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교통사고 빈도는 낮지만 교통사고 사상자 중 사망자의 비율이 도시에 비해 훨씬 높은 점이 농촌 교통사고의 중요한 특성이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 농촌 주민의 삶의 질 증진과 안전한 도로 이용 촉진을 위해 농촌 대중교통 체계와 도로체계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농촌의 도로 공급 실태를 양적‧질적으로 분석하는 한편, 농촌의 대중교통 서비스 공급실태와 농촌 도로의 교통사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 선진국의 농촌 대중교통 정책 동향과 모범적인 국내외 지역사례를 발굴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한편, 농촌 주민들의 도로 이용 및 대중교통 개선을 위한 정책 수요를 조사하여 향후 농촌의 대중교통 및 도로체계 개선을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Demand on public transportation has continuously declined in rural areas owing to the decrease of rural population and the increase of rural households having their own cars. It has caused dwindling supply of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for rural residents based on business deterioration of rural bus companies. A vicious circle between declines of demand on and supply of rural public transportation has lasted for decades.
Supply of rural roads has been growed quantitatively, while the quality of them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urban ones, especially from the perspective of road safety. It is one of the rural features that the occurrence frequency of traffic accidents in rural areas is relatively low, but the ratio of the death is very high. Lack of proper management and safety facilities of rural roads puts rural residents in dangers when they are on the roads.
Considering such situations of rural roads and public transportation, this study tries to draw up some improvement measures for rural public transportation and road system. To achieve this purpose, we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rural roads, rural public transportation, traffic accidents in rural areas, policy demand of rural residents on road and public transportation, and so forth.
We suggest some policy tasks for improve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road system of rural areas. First, 1.5 lane road should be introduced for rural road management. Second, proper safety facilities should be installed for drivers such as road fans, agricultural machines only lane, etc. Third, the concept of "Link & Place" should be applied to road building and management. Fourth, safe walk environment should be set up for pedestrians. Fifth, various modes of public transportation proper to the situations of rural areas should be explored and exploited. Sixth, integrated local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should be constructed for rural areas. Seventh, local councils on operation of local transport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and work properly.
Researchers: Kwang-Sun Kim
Research Period: 2012.5~2012.11
E-mail Address: yeskskim@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9073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모두에게 열린 기회가 되는 농어촌 만들기: 2024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 컨퍼런스
KREI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공동체 활성화 방안
이순미2024.10.30KREI 보고서 -
다채로운 농촌의 삶을 기록하다 : 2024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우수사례집
KREI2024.12.12KREI 보고서 -
제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종합평가
한이철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 주도 사회서비스 정책의 발전 방안 : 생활돌봄을 중심으로
김정섭2023.11.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김정섭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김정섭2023.10.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최근 5년(2006-2010) 중국의 농산물 무역 동향과 전망
- 이전글
- 귀촌과 지역공동체 육성 정책의 연계 추진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