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야생화를 활용한 산업화 및 정원문화 활성화 기술개발 전략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우리나라 야생화 자원의 현황
제3장 야생화(식물자원) 활용의 사례
제4장 해외의 야생화 활용 및 정원문화 사례
제5장 야생화 및 정원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제6장 야생화의 산업화 및 정원문화 활성화 방안
요약문
국민 소득이 높아지면 꽃 소비도 증가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화훼 산업도 크게 성장하여 연간 생산액이 1조 원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시판되는 꽃의 대부분이 장미와 백합 등 외국에서 개발되어 도입된 원예품종이고 우리 고유의 자생식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적다.
우리나라에는 원래 다양한 식물자원이 서식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상품성 높은 종들도 많다. 우리 자신이 자생식물의 가치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동안 다른 나라에서 우리 자원을 가져다 상업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우리 야생화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는 것은 매우 다행스런 일이다. 야생화의 소박한 매력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으며, 야생화를 활용한 예술·취미 활동, 농산촌마을 가꾸기 등 새로운 관점에서 야생화를 바라보기 시작하였다. 더구나 우리 자생
식물에는 약리 성분도 풍부하여 생물기술을 응용하면 앞으로 개발할 가치가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다방면에서 기술개발과 상품화 노력이 있어야 한다.
이 연구는 우리 야생화 자원의 산업화를 목적으로 국내외 활용가능한 사례를 살펴보고 야생화에 대한 국민 인식을 조사하여 앞으로의 기술개발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Wildflowers are plants growing wild, meaning they are not intestinally seeded or planted. Characterized by typical four seasons and lots of mountain area, Korea has various wildflowers considering relatively small land size. However, lacking systematic survey and research, it hasn’t utilized such affluent natural resources. Rather, the commercialized breeds based on domestic wildflower resources developed overseas are imported.
As income growing, peoples’ interest on nature and natural healing grows, and the interest on wildflowers as well. If we can industrialize the wildflowers in areas of gardening, landscaping, hobby and sightseeing, we can not only save the money being paid for imported flower species but also benefit the farmers with better income. Especially, small and artless wildflowers have lots of potentials in urban landscaping and gardening.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the step by step policy schemes to industrialize the wildflowers and to expand garden culture. For this, we searched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to commercialize wildflowers, surveyed the members of the Native Plants Growers Association to understand the supply side, and surveyed the people to know the demand side. The results of the surveys and the followed SWOT analysis were used in developing policy schemes of the National Arboretum to industrialize the wildflowers and to expand garden culture.
Domestically wildflowers are used for space design, flower arts, processed products (cosmetics, food, and medicine), local culture and festivals. From the survey on community garden and public farm in the US, flower theme garden in Japan, and various flower festivals in Europe we could identify much broad wildflower usages and supporting policies. From the survey on producers, we verified the obstacles in wildflower industry growth. They include shortage of labor; small business size with various products; lacks in production technique; limited markets; and lacks in consumer perception.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 demand side, people purchase wildflowers less often than other plants or flowers. People perceive that wildflowers are difficult to grow. More than 80% of people have experienced flower festivals. Among the processed products using wildflowers cosmetics and foods are most common to people. In flower market, most of wildflowers are less competitive than rose, freesia, and tulips. Though small number of wildflowers such as lily of the valley, dicentra, Korean Pasque Flower, aceriphyllum rossii has some potential to compete with exotic species.
The policy schemes have two hierarchies, which are four basic targets and the fourteen actions to reach the targets. The four basic targets are ① more field research, expansion of supply infrastructure; ② building the infrastructure to expand garden culture; ③ making the wildflower area closely; ④ building the industrializing foundation of wildflower and garden culture. The actions underneath the first target are 1) strengthening the survey and research on wildflower resource information; 2) strengthening the infrastructure to supply and educate wildflower. The actions to reach the second target are 3) developing the garden model and organizing the management skill; 4) forming public gardens; 5) developing and providing garden education program. The actions for the third target are 6) more planting wildflowers in living area; 7) composing a national movement to garden; 8) building and managing Korean style gardens in domestic and overseas. The actions for the last target are 9) creating the value from the research on efficacy, seed, and production of wildflowers; 10) developing a sightseeing item specialized for wildflower; 11) more wildflower growers; 12) promoting the downstream and upstream industry of wildflower; 13) more cultural interest with storytelling; 14) developing easily usable wildflower related products and easily applicable flower arts. The whole plan of policy schemes is structured to proceed from 2014 to 2018 during 5 years.
Researchers: Kyung-Taek Min, Ja-Choon Koo, Ho-Gun Chong, Myeong-Eun Kim, Chul-Kyun Yim
Research period: 2014. 4. - 2014. 5.
E-mail address: minkt@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1704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식품업종 적합업종 지정품목 실태조사
- 이전글
- 중국의 채소종자산업 동향과 관련 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