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가경영안정지원제도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1/2차연도)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업경영위험의 특성과 농업정책의 역할
제3장 농업경영위험 실태 분석
제4장 농업경영안정 지원정책 현황과 성과평가
제5장 주요국 농업경영안정지원제도와 시사점
제6장 농업경영안정지원제도의 개편 방향
제7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농산물의 소비는 정체현상을 보이는 반면, 영농 기술의 발전에 따른 생산성 향상과 수입농산물의 증가로 농산물 공급이 늘어나면서 농업수익성이 하락하고 있다. 또한 농업경영비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소득률이 하락하고, 자연재해의 대규모화·광역화로 농업경영위험이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업경영안정지원제도의 실태 분석과 정책과제를 제시하기 위하여 추진되었으며, 1/2년차 연구에서는 농업경영안정지원제도의 개편방향을 제시하고, 2/2년차 연구에서 세부 정책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첫째, 농업소득 실태, 가격변동 및 불안정성 실태, 소득률 변화 실태 그리고 농업경영위험 요인 분해분석 등을 실시하여 농업경영위험의 실상과 그 원인을 품목별 및 영농형태별로 분석한 후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현재 운용되고 있는 농업경영안정지원제도에 대한 성과평가를 실시하고, 현행 지원제도의 성과와 개선과제를 제시하였다. 셋째, 농업경영위험 실태와 현행 관련 제도의 개선과제를 기초로 농업경영안정화를 위한 관련 제도의 개편방향을 제시하였다.
Farm Management Risks and Implications
This study conducts in-depth analyses of agricultural income level and variability, price volatilities, and case studies on sharp price change to shed light on the current status of farm management risks.
An increased volatility in agricultural income along with continuous decrements in income level and income rate (ratio of agricultural income and gross agricultural revenue) imply that the farm management risks have increased. An empirical analysis of commodity price changes underpins the increments in price volatility which are expected to exacerbate the farm management conditions. This phenomenon is especially conspicuous among major commodities such as pepper, garlic, and onion. The increased price instabilization may be attributed to an increment in quantities supplied by domestic production and imports, stagnated domestic demand, and potential presence of price ceiling. An analysis of price transmission through distribution channels points out that producers, among all the relevant participants, are most vulnerable to such price changes. Case studies on exceptional price changes over the past twenty years show that unanticipated shocks, for example, natural disasters and/or disease, can be major causes.
It is also shown that the agricultural income rate has continuously lowered to reflect farm management risk expansion. The reason for the decreasing income rate varies by commodity. For example, stable prices along with increased production costs lead rice producers to face with such hardships. Increased management risks faced by some fruit and vegetable producers can be accounted for price or yield variations rather than production costs. Put together, the current situations emphasize the necessity for introduction or modification of farm management schemes to address such risks embedded in farm management.
Suggestions for Management Program Revision
Based on earlier analyses and discussion, this study presents directions toward which current policy tools may be guided. First, policy priority needs to be placed on reducing farm management risks rather than balancing supply-demand in markets. Second, policy tools should be classified and elaborated to cope with a variety of risk types. Third, it is required to enhance cost-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budget. Fourth, a careful review on current tools and provision is needed not to violate the WTO rules. Fifth, agricultural futures and other alternatives could be introduced to hedge the management risks.
This study’s suggestions regarding policy scheme modifi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Direct Payment Scheme needs to be revised to better mitigate the shocks from rapid price changes. Second, additional tools against catastrophic disasters are necessary as a basic safety net. Third, it is worthwhile to consider including production cost components in the Direct Payment Scheme formula so that the Payment can absorb the ‘cost pressures’. Fourth, more detailed studies are required as to farm-level income stabilization instruments.
Future Works
This study is scheduled to be conducted over two years. In the second year,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following: 1) how to revise current schemes and introduce crop・farm-specific tools; 2) how to further develop some major programs including the Direct Payment Scheme; and 3) evaluating appropriateness of introducing new programs.
Researchers: Park Joon-kee; Kim Tae-gon; Rhew Chan-hee;
Kim Young-june; Jeon Ji-yeon
Research Period: 2014. 1.~2014. 12.
E-mail address: jkpark@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3697
-
좋아요0
-
다운로드89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공급망관리(SCM) 시스템 구축 방안 (1/2차연도)
- 이전글
- 귀농·귀촌 요인과 농촌 사회·경제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