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지속가능한 농업시스템 구축 연구 (2/2차연도)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지속가능 농업의 개념 및 이론
제3장 지속가능 농업의 실증 분석
제4장 지속가능 농업정책의 효과 분석 및 심층 평가
제5장 지속가능 농업에 대한 농업인 반응 분석
제6장 국제기구 논의 동향 및 주요국의 지속가능 농업정책
제7장 지속가능 농업시스템 구축 방안
제8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최근 들어 물, 에너지, 기후변화 이슈 등과 더불어 지속가능 농업시스템 구축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고투입ㆍ고산출 농업으로 인해 농업용 토질ㆍ수질 악화,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 불안전한 식품섭취 등의 부작용이 커지고 있으며, 기후변화, 도시화에 따라 농지와 농업용수 부족 현상 또한 심화되고 있다.
이에 지속가능한 농업 육성을 통한 농업 환경 자원의 유지ㆍ보전 및 그 효율적 이용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실증 분석을 토대로 적절한 지속가능 농업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 수행이 요구된다.
이 보고서는 「지속가능한 농업시스템 구축 연구」에 관한 2년간의 연구 과제의 최종 결과물이다. 여기서는 지속가능한 농업의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토양 및 수자원 변동성 분석, 농경지의 양분수지 분석, 벼 생산함수 추정을 통한 생산성과 환경성의 관계 분석, 환경성 및 경제성의 통합 분석, 사회성 분석 등을 다루었다.
또, 지속가능 농업 육성을 위한 자금 투자의 농업 부가가치 제고 기여도 분석,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토양ㆍ양분 관리 정책에 대한 심층 분석, 농업인을 대상으로 한 지속가능 농업 인식 및 실천 의향 분석, AHP 분석 방법론에 의한 실행 프로그램의 우선순위 분석 등을 토대로 지속가능한 농업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 of Research
Research on sustainable agriculture has mainly analyzed the production aspect, focusing on the technical and economic aspect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low-input agriculture. However, in future research on sustainable agriculture must move beyond the production aspect to examine other aspects. This ‘holistic’ approach to research on low input agriculture will not only examine the production aspect, but will also the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aspects. Such an approach is necessary if a sustainable agriculture system is to be established which effectively manages agriculture environment resources, such as soil and water.
Methods of Research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an actual first year study which analyzed sustainable agriculture. In the study,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has been applied, using as its basis the rice production cost and soil-related variables data, so that a review could be conducted of the compatibility of economic feasibility and environment effect.
In addition, an econometric model has been used for a simulation analysis on the contribution to agricultural added value of investment with regards to sustainable agriculture. Moreover, further analysis of soil nourishment management has been carried out with an analysis of frequency and the Ordered Probit Model on the basis of expert surveys.
Furthermore, an analysis of frequency and Heckman's two-stage method have been applied to determine the level of farmers’ understanding and their intentions with regards to sustainable agriculture.
Finally,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has been employed so as to establish a hierarchy of prioritie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policy programs.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An analysis of environment effect reveals that the available phosphoric acid level is 1.3~2.1 times the optimal amount in rice paddies, upland fields and orchards. Further examination has revealed that the excess nutrient is polluting ground water and surface water.
Analytical results for economic feasibility show that factors of production have been invested heavily in the rice crop. Under these conditions, sustainable agriculture, including low-input agriculture, appears to be a possible alternative that will permit economic feasibility and environment effects to be improved simultaneously.
Analysis results for sociality reveal that social factors include the value of producer, association and interior network. Social conditions are comprised of leadership, consumers' awareness, education and conflict solutions. In addition, analysis on how much the investments contribute to improving agricultural value added has revealed that the direct payment program is the most effective instrument. Experts confirm that economic feasibility can be improved by scientific and well reasoned nutrient management on the basis of soil test.
Farmers pointed to 'economic factors' (40.5%) as being the largest obstacle to switching to the practice of sustainable agriculture. They also indicate 'uncertainty with regards to sustainable agriculture technology' (55.8%) as a failure factor for practicing sustainable agriculture. Even so, farmers who think that environmental and regional issues are the biggest problems have expanded their practice of sustainable agriculture.
An analysis which sought to establish the prioritie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policy programs has shown that extending R&D in agricultural technology, revitalizing soil test and fertilizer recommendations as well as introducing an emission trading system are very important policy measures.
The key subjects to establish the sustainable agriculture system a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our aspects. And each aspect calls for different requirements.
Firstly,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the research indicates that agricultural policy needs to be integrated with environmental policy and that the function of market making based on the value chain needs to be revitalized.
Secondly, from an environmental point of view, there is a need for an optimal resource management system to be established in the agricultural sector. In addition, sustainable agriculture practice will need to be extended and environmentally-friendly and sustainable intensive technology will need to be further developed.
Thirdly, from a social point of view, green agriculture management needs to be fostered, technology and education needs to be extended, and social conflict needs to be mediated.
Lastly, from a governance point of view, it will be necessary to strengthen good governance, to share suitable roles, to build a cooperation system and to utilize community supported agriculture.
Researchers: Kim Chang-gil, Jeong Hak-kyun, and Moon Dong-hyun
Research Period: 2014. 1. ~ 2014. 12.
E-mail: changgil@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5771
-
좋아요4
-
다운로드106
같은 분야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종자·마이크로바이옴 기술과 관련 제품의 수요자 인식 및 구매 의향 조사 결과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탄소중립농업 추진을 위한 바이오투입재 이용활성화 방안
임영아2024.10.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실태와 정책과제
박지연2023.12.31KREI 보고서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종합본(2021-2023)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영농형 태양광 도입의 경제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정학균2023.11.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3/3차년도)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주요국 미세먼지 저감농업 정책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데이터 기반 구제역 항체양성률·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요인 분석
박문수2023.12.30KREI 보고서 -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 방안 연구(2/2차년도)
송우진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지속가능한 농촌 토지이용계획 지원 모형 연구:토지이용계획을 위한 모니터링 지표의 개발과 적용
- 이전글
- 지방 농정 거버넌스 활성화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