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축산계열화사업 성과와 과제: 육계산업을 중심으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육계산업 현황과 구조
제3장 육계계열화사업 도입과 현황
제4장 계열화사업 문제점과 성과
제5장 계열화사업 발전 과제
요약문
축산업 계열화는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육계, 오리, 양돈산업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축산계열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농가소득 안정과 축산업의 외양 발전과 같은 긍정적인 요인 이외에 계열업체와 계약농가의 불평등한 계약관계에서 비롯한 각종 문제점들이 불거지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제도 정비와 법률 제정을 통해 축산계열화사업의 질적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육계산업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축산계열화사업의 현황을 살펴보고 지금까지의 성과를 분석하고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축산계열화사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미래 과제도 제시하고 있다.
The Korean government has introduced the “law of Livestock industry integration” in 2013.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a law-abidingness of poultry industry after the legislation. This study also pursues drawing a task for a successful livestock industry integration policy.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summarizes a concept and history of a livestock industry integration in Korea. The keystone of the “law of Livestock industry integration” and related regulations are reviewed in the study.
This study shows that top 10 poultry packers’ slaughtering volume occupied 70.4 percent of total domestic poultry slaughtering in 2014. This study estimated the Korean poultry market concentration rate, and its annual growth rate is less than 2 percent during last 10 years. The estimated CR3, CR5, and CR8 are 36%, 50.5%, and 64.7% each. In addition, estimated HHI shows that the annual growth rate of the Korean poultry market is less than 3 percent. All those outcomes confirm that the Korean poultry market is not a perfectly oligopoly market. The becoming of oligopoly market is currently underway but the competition between high-ranked packers is getting deepened.
After introducing the livestock industry integration policy, the poultry productivity index increased from 203.5 in 2000 to 294 in 2013. Especially contracted farms show highly increased outcome compared to non-contracted farms. Farmers replied to the survey that the “law of Livestock industry integration” positively affects several rearing contract related issues.
The survey result from 94 poultry farms shows that farms’ annual number of breeding is about 5 times and average commission is about 23,600 thousand won for a time. The main reasons of farmers’ changing contractor are replied as “quality of chick”, “the amounts of commission”, and “commission evaluation system.” These replies mean farmers still feel disadvantage by packers after introducing the “law of Livestock industry integration” in 2013.
This study realizes the main task for improving livestock industry integration policy is forming the mutual trust between farmers and packers in rearing contract. To meet this end, several policy improvements are necessary such as “prompt introducing and adopting use of standard form contract”, “forming and strengthening the farmer-council toward contractors or packers”, and “monitoring illegal activities of packers.” The U.S. “Packers and Stockyards Program” is also a good example to improve relationship between farms and packers towards better partnership. Introducing a better standard, such as productivity measure or efficiency measure, to analyze a performance of the related policy is another key to achieve better industry structure.
Researchers: Woo Byung-joon, Kim Hyung-jin
Research period: 2014. 12. ~ 2015. 2.
E-mail address: bjwoo@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38644
-
좋아요1
-
다운로드268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보조금 집행 실태와 정상화 방안 연구: 자본보조사업을 중심으로
- 이전글
- 외국의 귀농·귀촌 동향과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