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국내 할랄식품 시장 실태와 대응과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국내 할랄식품 시장 현황
제3장 국내외 할랄식품 정책과 대응 사례
제4장 국내 할랄식품에 대한 무슬림 소비자 인식과 평가
제5장 국내 할랄식품 시장 대응과제
요약문
전 세계적으로 할랄식품 시장이 급속히 성장함에 따라 할랄식품에 대한 각국의 정부와 식품기업의 관심이 증가하고, 할랄식품 시장 진출을 앞다투어 도모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할랄식품 시장에 대한 정부와 산업계의 관심이 고조되면서, 해외 할랄식품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정책적·산업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15년 3월 대통령의 중동 순방을 계기로 ‘한-UAE MOU’를 체결하였으며, 2015년 6월에는 ‘할랄식품산업 발전 및 수출 활성화 대책’을 발표하고, 세부 과제 및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다.
그간 할랄식품 관련 논의와 연구의 초점은 대체로 해외시장과 수출 활성화에 맞춰져 왔다. 그러나 보다 체계적이고 활발한 해외 할랄식품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국내시장에서 국내산 할랄식품에 대한 저변 확대와 관련 산업 기반 구축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국내 할랄식품 시장 현황과 국내 무슬림 소비자의 할랄식품 소비 실태와 인식을 조사하고, 국내 할랄식품 수요 충족과 시장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대응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This study aims to draw the tasks to vitalize the domestic halal food market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market and the halal food consumption situation and perception of Muslim consumers in Korea. This research consists of four parts: the present state of the domestic halal food market; halal food policies and response cases at home and abroad; Muslim consumers'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domestic halal food; and tasks of the Korean halal food market.
With the global halal food market rapidly growing, governments and food companies all over the world are making diverse efforts for the entry into the market.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and enterprises have also payed attention to the market and have focused on securing competitiveness in it in the policy and industrial aspects.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concluded the Korea-UAE MOU with the President's tour to the Middle East in March 2015, and announced the Development and Export Vitalization Plan of the Halal Food Industry in June 2015.
Until recently, discussions and research on halal food centered on the overseas market and promotion of export. Nevertheless, for a systematic and active push into the foreign halal food market, it is first necessary to expand the base of domestic halal food in the Korean market an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related industries.
Currently, 524 items of 155 food companies in Korea have received KMF halal food certification, and 264 items of about 14 firms received overseas certification. However, domestic food manufacturers with halal certification mainly aim for export to Islamic countries. Therefore, these companies' products are rarely distributed and sold at home. According to our survey results, both Muslims who live in Korea and Muslim visitors said that they have some trust in halal foods sold in Korea. Nonetheless, the respondents were somewhat negative about the variety and availability of halal food in the country.
Only six domestic restaurants received KMF halal restaurant certification, and most restaurants that provide halal food offer food that Muslims can eat, without halal certification. The restaurants with halal certification had difficulties in supplying and handling food ingredients centered on meat and fermented food due to insufficient production infrastructures of domestic halal food ingredients. Muslim consumers also thought that eating out is not easy in Korea because of religious restrictions.
To promote the domestic halal food market,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nd implement mor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policies in the long term. Halal food supply to a proper level is needed to meet demand of Muslims who live in Korea and Muslim visitors. Also, halal products should be diversified to satisfy consumers qualitativel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more concrete strategies by strengthening research on domestic halal food, to vitalize the domestic halal food industry by increasing demand for halal food in Korea, and to create overseas demand by improving Muslim consumers' perception and awareness of domestic halal food and certification.
Additionally, it is needed to expand opportunities for Muslims of foreign nationality living in Korea and Muslim visitors to experience Korean food in order to raise interest in and demand for Korean food products as well as Korean food.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comprehensive policies linked with MAFRA's existing Korean food policy and to actively carry out cooperative projects with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rough the food-tour connection in the tourism sector for various synergy effects.
Researchers: Hwang Yunjae, Lee Kyeiim, Kim Seongwoo and Choi Jongwoo
Research period: 2015. 6. ~ 2015. 10.
E-mail address: yjhwa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4185
-
좋아요5
-
다운로드485
같은 분야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한국의 인구변동 추이와 특징 : 식품시장 파급효과의 측면
이상림2024.12.30KREI 보고서 -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분야 순환경제 이행 지표 및 환경적 효과 평가 방안 연구
주문솔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채식 식품산업의 실태와 성장산업화 전략
박기환2024.10.30KREI 보고서 -
2023 농소모 활동보고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식품소비 트렌드 모니터)
이계임2023.12.30KREI 보고서 -
2023 식품소비행태조사 통계보고서
이계임2023.12.30KREI 보고서 -
2023 식품소비행태조사 기초분석보고서
이계임2023.12.30KREI 보고서 -
식품수급표 2022
홍연아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전망 2016 : 급변하는 농업·농촌, 내일을 기획한다
- 이전글
- 농업·농촌에 대한 2015년 국민의식 조사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