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신기후체제에 대응한 저탄소농업 활성화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기후변화협약과 저탄소농업 관련 정책 추진현황
제3장 저탄소농업 기술의 적용실태
제4장 저탄소인증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분석
제5장 저탄소농업 활성화를 위한 추진과제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세계는 기후변화가 초래할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어젠다로 온실가스 감축을 선정하였고, 국제협약을 통해 온실가스 의무감축을 현실화하고 있다. 최근 파리 기후변화협약이 체결되면서 우리나라 농업부문도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부담이 이전보다 커지고 있다. 농업부문이 온실가스 감축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저탄소농업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저탄소농업 활성화 방안은 많은 시간 및 예산 투입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사전적으로 저탄소농업 기술에 대한 경제성 및 기술 적용의 애로사항을 분석하고, 그에 따라 효율적인 방안이 도출되도록 해야 한다.
이 보고서는 ‘신기후체제에 대응한 저탄소농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원 수시과제의 최종 결과물이다. 여기서는 기후변화협약과 저탄소농업 관련 정책 추진현황 분석, 농가의 저탄소농업 기술 적용실태 분석, 한계감축비용 분석, 저탄소인증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분석 등을 실시하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저탄소농업 활성화를 위한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Background
The world selected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as a global agenda to adapt to environmental changes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implements compulsory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through international conventions. The agricultural sector of Korea should establish and promote policies for expanding low-carbon emission agriculture based on evaluation of economic effects of low-carbon emission agriculture to effectively adapt to reducing greenhouse gases. Prior studies related to low-carbon emission agriculture focus mainly on calculating the volume of emitted greenhouse gases and analyzing potential reduction thereof. It is hard to find prior studies suggesting an analysis of economic effects and effective reduction strategies thereof. This study has been promoted to design a strategy for vitalizing low-carbon emission agriculture on a systematic basis to successfully reduce greenhouse gases in the agriculture sector after the Climate Change Conference in Paris.
Method of Research
The world selected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as a global agenda to adapt to environmental changes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implements compulsory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through international conventions. The agricultural sector of Korea should establish and promote policies for expanding low-carbon emission agriculture based on evaluation of economic effects of low-carbon emission agriculture to effectively adapt to reducing greenhouse gases. Prior studies related to low-carbon emission agriculture focus mainly on calculating the volume of emitted greenhouse gases and analyzing potential reduction thereof. It is hard to find prior studies suggesting an analysis of economic effects and effective reduction strategies thereof. This study has been promoted to design a strategy for vitalizing low-carbon emission agriculture on a systematic basis to successfully reduce greenhouse gases in the agriculture sector after the Climate Change Conference in Paris.
Results and Implications
The result of the survey by questionnaire to examine recognition of and response to low-carbon emission agriculture reveals difficulties in applying low-carbon emission agriculture: ‘no price difference of low-carbon emission agricultural products’ (32.3%), ‘reduced volume per unit area after applying low-carbon emission agriculture’ (24.8%), and ‘increased labor input including complicated documentation procedures’ (15.9%).
The result of estimated marginal abatement cost of the technology for reducing greenhouse gases in the agricultural sector reveals no-tillage is the most cost-effective technology, followed by multiple insulation curtains, geothermal heat pumps, water-curtain system, cultivation with green manure, optimum application of fertilizers, and intermittent irrigation.
The result of the consumer survey reveals many consumers value the necessity for low-carbon emission certification, and highly trust the certification. However, just a half of the consumers who have bought low-carbon emission products answered they know details of low-carbon emission certification, suggesting the necessity for public relations in the future. More than 80% of people who have or have not bought agricultural products certified as low-carbon emission products gave a positive answer to future purchase thereof. This implies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agricultural products certified as low-carbon emission products, find ideal markets to enable consumers to easily access thereto, and lower the price premium approximately 25% lower than the agricultural products certified as GAP and pesticide free to promote future purchase.
It is needed to vitalize low-carbon emission agriculture to accomplish the target of reducing greenhouse gases under the new climate regime.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promote key projects including further expanding major low-carbon emission agriculture technology, encouraging consumers to buy low-carbon emission agricultural products, promoting greenhouse gas reduction projects by using the Emission Trading Market, and establishing a strategy for introducing the Environmental Cross Compliance Scheme of the EU.
Researchers: Jeong Hakkyun, Kim Yeanjung, Lee Hyejin
Research period: 2015. 12. ~ 2016. 5.
E-mail address: hak8247@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59068
-
좋아요4
-
다운로드473
같은 분야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종자·마이크로바이옴 기술과 관련 제품의 수요자 인식 및 구매 의향 조사 결과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탄소중립농업 추진을 위한 바이오투입재 이용활성화 방안
임영아2024.10.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실태와 정책과제
박지연2023.12.31KREI 보고서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종합본(2021-2023)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영농형 태양광 도입의 경제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정학균2023.11.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3/3차년도)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주요국 미세먼지 저감농업 정책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데이터 기반 구제역 항체양성률·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요인 분석
박문수2023.12.30KREI 보고서 -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 방안 연구(2/2차년도)
송우진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스마트 팜 실태 및 성공요인 분석
- 이전글
- 구제역 백신주 선정 경제성 분석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