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실태와 정책과제(1/2차년도)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논의 배경과 개념
제3장 사회적 요구와 축산정책 변화
제4장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과 행태
제5장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실태
제6장 결론: 정책 방향과 과제
요약문
지속적인 경제 성장으로 국민들의 축산물 소비가 증가하면서 우리나라 농업에서 축산업의 경제적 위상이 매우 높아졌다. 축산업의 성장 배경에는 경쟁력 제고와 경제적 효율성 극대화에 기초한 공장식 축산 적용 확대가 있다. 최근 이러한 사육방식의 부정적 측면이 강조되고 축산업에 대한 사회적 요구내용도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사회의 요구에 대한 축산업의 책임이 구체적으로 무엇이고, 어떻게 충족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와 전문가 협의를 통해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의 의미와 내용을 정리하였다. 또한 현재까지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실태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필요한 정책 방향과 과제 내용을 도출하였다. 이 과정에서 일반 국민과 축산업 생산자를 대상으로 축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에 대한 인식 및 행태조사와 중요도-만족도 분석(IPA)을 함께 실시하였다.
지속가능한 축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현재 상황에 대한 축산업 종사자들의 인식 개선과 자발적 변화 노력이 필요하다. 과거 축산업의 역할은 동물성 단백질의 안정적 공급원으로 한정적이었으나 지금은 그 책임과 범위가 확대되어 생명을 다루는 동물자원산업으로서 더 많은 가치를 창출이 요구되는 경제적·사회적 영역으로 변화되었다.
Background & Purpose of Research
The role that society requires of the livestock industry is becoming more complex and diverse than in the past. But different stakeholders' positions around the industry vary and social dialogue is not enough. Therefore, the livestock industry must accurately recognize and respond to the needs of societ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what is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livestock industry and to organize the policies for carrying out the responsibilities.
Method of Research
This study reviewed past researches to summarize how Korea's livestock policy and related laws have changed in response to changes in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of the industry. A survey and IPA were conducted on consumers and producers to analyze the awareness and behavior of the livestock industry's social responsibility. In addition, the study conducted a consumer analysis using a pro-social utility function to examine whether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animal welfare are significant buying factors.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This study categorized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livestock industry into four categories: civil responsibility, economic responsibility,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d ethical responsibility. And the study summarized the policy tasks required to fulfill social responsibility.
This study defined the role of the livestock industry as "production and supply of safe livestock products by using a way that the people can accept," and thus defined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industry as "to faithfully fulfill the social needs." In the role of the livestock industry, "an acceptable way" is defined as "the legal production process of livestock products with no negative externality, and further requiring the implementation of ethical acts such as animal welfare."
According to a survey of producers and consumers on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livestock industry, a difference in awareness between the two groups was confirmed. On strengthening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livestock industry, consumers put emphasis on toughening legal punishment when it comes to detecting illegal acts, while producers put the most importance on strengthening government policy support to root out livestock diseases and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In relation to the fulfillment of the social responsibilities of the livestock industry, consumers value the awareness of the reality and voluntary improvement of the livestock industry, while producers believe that greater government policy support is the most important.
The consumer survey has shown that consumers have very low awareness of organic and animal welfare products. However, consumers with experience in purchasing certified products were clear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products and were willing to pay additional amounts. Nearly half of the producers in the survey are considering whether to participate in organic livestock or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programs, but are not easily involved due to rising managing costs and concerns about income.
Researchers: Woo Byungjoon, Kim Hyunjoong, Park Sungjin and Seo Gangcheol
Research period: 2018. 1. ~ 2018. 12.
E-mail address: bjwoo@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94805
-
좋아요3
-
다운로드704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향(4/5차년도)
- 이전글
- 지방분권을 위한 농정 추진 체제 개편 방안(1/3차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