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업·농촌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1/5차년도)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정책고도화와 정보지원체계 역할
제3장 농업부문 통계 활용 실태와 문제
제4장 주요국 정책결정 지원시스템 사례와 시사점
제5장 데이터기반 농정을 위한 정보 체계화 방향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농업·농촌정책 결정의 합리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데이터기반 정책 수립을 통한 정책고도화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소비자의 농업·농촌에 대한 수요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효과적 대응이 가능하도록 농정추진 방식의 전환도 요구되고 있다. 특히 지방분권화 추세 속에서 농정추진체계도 중앙정부 주도에서 지방지차단체의 역할 확대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지역특성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정보 지원체계 마련과 지방농정 담당자의 역량 제고 등 지방농정 고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는 1/5년차 과제로 농정의 기획·수립·추진·평가 과정에서 활용되고 있는 농업정책 관련 다양한 통계정보 실태를 분석하고, 지방농정의 고도화 및 정책결정의 합리성 제고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승인 및 미승인통계 실태, 지자체의 통계 활용 현황, 지자체 농정담당자의 통계정보 수요조사 그리고 일본과 캐나다의 통계지원체계에 대한 사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Research Background
Recently various criticisms have been raised on the current system and tools of agriculture policies, and agricultural and rural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in line with changes in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From the policy planning and process controll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rationaliz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to promote the data-based policy. There is a need to develop policy support that can cope with these problems and to build an information support system for them.
This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of the information support system for the agricultural and rural areas provides basic statistics about the changes in the structure of agriculture and provides periodic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comprehensive analysis and in-depth analysis. These are beyond the scope of how to provide statistics and to publish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objective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promotion and evaluation of agricultural policies.
Methods
In order to analyze the statistics of the agricultural sector, we reviewed the literature and conducted surveys for local government officials. In the literature review, the approved statistics and unapproved statistics in the agricultural sector, the utilization status of statistics, the survey items of statistics, the publication cycle, and the problems in utilization were derive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statistical utilization and demand analysis. The result shows the demand for systemization was identified.
We conducted a case study of Japan and Canada that operated information support systems using agricultural statistics, and used it as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an information system and setting system components.
In order to analyze the use case of agricultural statistics information, the economic structure of the farm household and indices of the analysis of the local agricultural structure were suggested. As for the farm household economy, the income, consumption and financial structure by farm type were analyzed. On the regional agriculture, comparative analysis of production indices, management indices, production base, environmental indices, and budget structure was conducted.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First, policy decision should secure practical rationality and procedural rationality. Second, policy-making rationality should be guaranteed by establishing data-based scientific policies. Third, it is now necessary to approach the central agricultural policy system considering decentralization in terms of improving the decision-making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In ord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local statistic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pproved statistics related to agriculture along with reorganization of the classification method to enhance the use of agricultural statistics.
Five basic directions of information systematization for agricultural policy decision making are presented. First, to ensure the logical consistency of policy, the information system needs organic linkage from the viewpoint of planning (plan) - execution (do) - evaluation (see). Second, regional analysis and benchmarking should be possible. Third, statistical techniques and analytical tools should be used to ensure mutual connectivity between data. Fourth,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data which is the core of the information system. Finally, it should be a system considering users' convenience.
This study presents a yearly research roadmap for the five-year study. The roadmap proposed in this study needs to be revised and supplem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following points. First, local government officials' demand for the information support system needs to be considered, and the general public should also be able to use this system. Second, the system developers should have the capacity to integrate, analyze and operate related information. Third, it is needed to build the system by closely identifying demand through the establishment and evaluation of the agricultural policies using the statistical information in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Researchers: Park Joonkee, Kim Meebok, Kim Taehun, Lee Douyoung, Park Jiyeon
Research period: 2018. 1. ~ 2018. 12.
Email address: jkpark@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97094
-
좋아요1
-
다운로드302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KREI리포터 2018년을 돌아보다
- 이전글
- 농림업 분야 중점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