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촌 지역사회에서 여성농업인 지위와 정책 과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이론적 배경
제3장 농촌 지역사회에서 여성농업인의 지위
제4장 여성농업인 지위 관련 정책
제5장 민간분야 대응 사례와 시사점
제6장 지역사회에서 여성농업인 지위 향상을 위한 정책 과제
요약문
농촌 지역에서 여성농업인의 역할은 다양하다. 농산물 생산자일 뿐만 아니라 마을 행사, 돌봄, 마을 가꾸기 등 다양한 영역에서 지역사회를 유지하는 활동을 한다. 농촌의 고령화가 심각하고 농업 외 경제활동의 필요성이 더욱 늘어난 지금 여성농업인은 그 어느 때보다 바쁘다.
그러나 여성농업인이 지역사회에서 공헌하는 만큼의 대우를 받거나 남성과 동등한 위치를 누리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대답하기 어렵다. 오히려 생산자로서의 대표성, 지역사회 활동의 성별 분담과 보상 체계의 관점에서 여성농업인의 지위는 남성에 비해 낮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여성농업인에 대한 성적 침해도 자주 발생하여 인권이 보호된다고 보기 어렵다.
이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여성농업인의 지위 실태와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농업인들이 스스로 인식하는 지위의 현주소와 근본 원인, 그리고 대안에 대한 논의가 이 연구의 주된 내용이다. 여성농업인의 지위와 농촌 지역의 성평등 문제는 매우 오래된 관행과 문화로 굳어져 있기 때문에 정부의 노력과 함께 민간에서의 대응 방향에 대해서도 제시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Women’s roles are essential to maintaining local communitiesA local community includes a functional community where residents live in the same geographic space and share understanding and interests through mutual relationships. (Kim Kyeong-sup et al. 2012)
in rural areas. They participate in the regional development and community care as well as farming labor, child/senior care, and household management. However, their status in society is limited to helpers or outsider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ir position in rural communities and suggest alternatives to improve it. Specifically, it seeks to inspect female farmers’ representativeness in local society, recognition of their various activities for regional development, awareness of gender roles in community activities, and human rights violations against female farmers. Also,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policy alternatives for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based on detected problems and causes.
Research Methodology
○To achieve our goals mentioned above, we reviewed diverse prior literature, including related theories in sociology and women’s studies. Also, we studied relevant documents to check domestic policies to improve female status in rural communities, Japanese cases, and various private-sector endeavors to find 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other alternatives in the public and private areas. Also, we commissioned external experts to write manuscripts for our review. In addition, we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for domestic and Japanese policies.
○We conducted surveys targeting farmers. The surveys sampled nationwide farmers (848 women and 376 men) to inspect women’s awareness of their social and economic position, role sharing between genders, official recognition of female farmers’ contribution to local communities, and the state of gender-related human rights violations.
○We also interviewed female farmers, heads of local organizations, members of local development committees, executive members of local Nonghyup or agricultural cooperatives, leaders of non-official groups, and representatives of female farmers’ center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8536
-
좋아요0
-
다운로드472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산지관리제도 운영 실태와 과제
- 이전글
-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4/10차년도) : 기초지자체 농업 보조사업 효율화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