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1/3차년도)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정의 및 유형
제3장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와 온라인 유통 실태
제4장 소비자의 플랫폼 기반 농산물 유통 실태
제5장 공급 부문의 플랫폼 기반 농산물 유통 실태
제6장 해외 사례
제7장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
요약문
이 연구는 총 3차년도로 올해 1차년도에는 농산물의 전체 유통채널과 거래방식 중 온라인 플랫폼에서 거래되는 농산물의 유통 비중 및 유통실태를 파악하여,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의 효율적 추진과 확대를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2차년도에는 농산물의 상적 거래와 물류 서비스는 불가분의 밀접한 관계에 있어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 효율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물류의 효율적인 기반 구축 방안을 모색하고, 3차년도에는 농산물 유통의 온·오프라인 유통 채널에 대한 미래 전망을 바탕으로 농산물 유통구조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농산물의 온·오프라인 유통 발전을 위한 정책적인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re are three major keywords in the recent changes in the agricultural distribution environment: digitalization, COVID-19, and the South Korean version of the New Deal.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fers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digital revolution in our lives. Among the renovations, the field that is changing most dramatically is shopping: online transactions have expanded as non-face-to-face transaction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due to the pandemic. In addition, the government is promoting online transactions in the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by announcing the Digital New Deal. Recently, as online transactions based on a digital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system are increasing notably, a need for research has emerged that includes a comparative analysis of online and offline distribution and understanding of their actual status. This study aims to present activation strategies for the efficient promotion and expansion of online platform-based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by identifying the proportion and distribution status of agricultural products traded on online platforms among all distribution channels and transaction methods of agricultural product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1914
-
좋아요2
-
다운로드1720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혁신 성장을 위한 농업부문 데이터 경제 체계 구축과 활성화 방안 (1/2차년도)
- 이전글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 (2/10차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