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파라과이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국가 및 농업 현황
제3장 농업 분야 개발협력 현황 및 수요
제4장 중점협력 분야
제5장 개발협력 추진 전략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파라과이는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등 남미 주요 국가들에 진출이 용이하다는 지정학적 가치와 높은 경제성장 잠재력을 바탕으로 경제 및 개발협력의 중요한 대상국으로 인식되어 왔다. 또한 파라과이의 낮은 인적자원개발 시스템, 사회기반시설의 부족 등을 지원하기 위해 우리나라는 2013년부터 파라과이를 개발협력의 중점협력국으로 지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농림업 분야 중점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의 5년차 과제로 파라과이를 대상으로 한 우리나라 개발협력의 중점협력 분야와 주요 추진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문헌조사, 전문가 설문조사 및 심층 면담 조사, 현지 조사, 통계분석, 가치사슬 조사, 우리나라의 비교우위 분석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현실적이고 적용 가능한 개발협력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Background of Research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strateg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 the field of agriculture and forestry between Korea and Paraguay. Paraguay has been Korea’s major partner in development cooperation since 2013,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ffective cooperation strategy. To this end, the study presents key cooperation areas and detailed tasks by reviewing the current status of Paraguay’s agricultural and forestry sector, national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strategy,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ODA status and strategies, and Korea’s expertise and comparative advantage.
Method od Research
○First, various methods were used to establish the goal of the study, such as literature review, an expert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field research, statistical analysis, and value chain research, etc. In addition, we reviewed all data available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major donor countries, for strategies and programs in the agricultural and forestry sector targeting Paraguay. The current status of the nation’s agriculture and forestry was identified based on statistical data by OECD and FAO.
○Second, part of the study was entrusted to Director Kwon Ohbok of the Paraguay Office of the Korea Forestry Promotion Institute, an expert in the local agriculture and forestry, to enhance the expertise of the study, from June to August 2022. The results were used as data on Paraguay's agricultural status and value chain analysis by major crops, as a reference for establishing Paraguay's agricultural cooperation areas and selecting detailed task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3512
-
좋아요1
-
다운로드93
같은 분야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필리핀 농업과 농축산물 교역 동향
남경수2023.11.30KREI 보고서 -
인도 농업과 주요 농업정책 동향
이현근2023.11.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 (2023~2032)
전형진2023.11.20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이형용2023.05.31KREI 보고서 -
베트남 도이머이 정책이 농업 GDP에 미치는 영향과 농업분야 ODA가 GDP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김영준2022.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3/5차년도)
최용호2022.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에티오피아
김종선2022.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5차년도): 3개 국가를 대상으로
차원규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2/3차년도)
- 이전글
- 혁신 성장을 위한 농업부문 데이터 경제 체계 구축과 활성화 방안 (2/2차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