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촌경제

영농형태별(품목유형별) 농업 소득 변화 요인 분석

2016.12.30 7176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윤지원, 권오상
  • 등록일
    2016.12.30
목차

1. 서론
2. 분석 모형
3. 자료 구축
4. 분석 결과
5.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본고는 2003년부터 2014년까지의 농가경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영농형태별 농가의 농업소득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농업소득 결정요인으로는 생산성효과, 규모효과, 가격효과를 분석하고, 관측된 소득변화를 요인별로 분해하는 방법을 도입하였다. 또한 농가유형별로 산출물과 투입요소의 수량 및 가격지수를 구축하는 작업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품목유형별로 농업소득의 변화율은 매우 다르며,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역시 상이함이 밝혀진다. 따라서 소득변화원인에 대한 분석은 이들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고는 또한 투입물의 가격효과는 품목별, 시기별로 비교적 안정적임에 반해 생산성효과, 수량효과, 산출물가격효과는 품목별, 시기별로 가변성이 높아 이와 같은 요인별 특성을 반영하는 소득대책이 필요함을 확인한다.

This study constructs product-specific quantity and price indices of Korean farmers and identifies the sources of agricultural income changes using the indices. Changes in agricultural income are decomposed into productivity effect, scale effect, and input and output price effects. The results based on the farm household survey data of the period from 2003 to 2014 show that the changes in input prices affect the profitability steadily while the changes in output price, productivity and production scale are highly product and time variant. It is also found that output price effects are not sufficient enough to countervail the deteriorating productivity and scale effects for the products whose real incomes are declining.

저자정보
윤지원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윤지원
저자에게 문의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7176
  • 다운로드
    134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미세 먼지 농도가 돼지고기 구매에 미치는 영향
이전글
농업의 6차산업화 융복합 유형과 농가 소득 증대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