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농촌경제
쌀 공공비축 매입량이 수확기 시장가격에 미치는 영향

목차
1. 서론
2. 수확기 양곡매입 및 관리 현황
3. 분석 자료 및 분석모형
4. 분석 결과
5. 요약 및 시사점
요약문
본 연구의 목적은 수확기 쌀 시장가격에 대한 정부의 공공비축 매입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수확기 쌀 가격 반응모형을 개발하여 수확기 공공 매입규모가 수확기 쌀 가격에 얼마나 영향 미치는지 수확기 쌀 가격 결정의 동태적 특성을 고려한 자기회기시차분포모형을 이용하였다. 2004년∼2016년 기간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공공 매입규모를 확대하여 시장공급을 감소시키면 수확기 쌀 시장가격 지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공공비축제도의 정책효과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수확기 쌀 가격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이동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해당기간 동안 공공비축 매입 정책이 수확기 쌀 시장가격지지 역할을 하고 그 영향력도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2010년 이후로는 시장가격지지에 대한 영향력이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공공비축 매입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쌀 소비량과 생산량이 동시에 연계되도록 소비량 및 생산량 간의 적정 비율로 당해년 매입규모를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수확기 가격 예측에 활용되어 수급관리를 위한 매입규모 최적 설정 시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rice public stockholding on rice price in harvest season and the decreasing rate of rice market supply (MSDR) and to identify how the rice public stockholding program affects the price of rice harvests over time by calculating time varying estimates of the MSDR. For this purpose, both an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ARDL) model and a rolling regression model are applied. The empirical findings show that 1%p of change in the MSDR leads to 1.9% of change in the rice price in harvest season. Additionally, the impact of the rice public stockholding program on rice price support continued in the sample periods, but the degree of its influence was enhanced by 2010, and has weakened since the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reset the appropriate volume of rice public stockholding by considering the recently decreasing trend of rice consumption in order to improve policy effect.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40460
-
좋아요2
-
다운로드379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청소년의 식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이전글
- 농촌경제(JRD) 제40권 특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