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농촌경제
건강기능식품 원료 규제에 대한 업체의 인식 차이 분석 : 개별인정형 제품 보유 여부에 따른 업체구분을 중심으로

목차
1. 서론
2. 건강기능식품 산업 현황
3. 이론 모형
4. 실증 분석
5. 분석 결과
6. 요약 및 결론
요약문
경제성장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는 식품에 대한 인식 및 소비 트렌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과거의 식품소비는 영양소 보충과 맛이 주요 관심의 대상이었으나 최근에는 식품의 안전성과 건강으로 주요 관심의 대상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트렌드 변화와 함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과 소비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건강기능식품 생산 업체의 이윤함수를 이론모형을 통해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업체의 특성 및 현황에 따른 개별인정형 원료 관련 규제에 대한 업체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개별인정형 원료를 보유하고 있는 업체와 그렇지 못한 업체는 개별인정형 원료의 고시형 원료 전환기간 단축에 대해 상반되는 의견을 보였다. 즉 개별인정형 원료 보유개수가 많은 업체일수록 전환기간 단축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이는 반면, 개별인정형 원료를 보유하지 못한 업체일수록 전환기간 단축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업의 성장을 위해 시행한 규제 완화가 오히려 성장을 저해를 유발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The high level of regulation hinders the growth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industry, although the consumers’ food choices shift from the emphasis on taste and nutrients to safety and health.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companies that produce health functional food show different attitudes toward the regulations of health functional food. Most companies and related workers in the health functional food industry appear to be in favor of deregulation for the growth of the industry. However, it is analyzed that health functional food companies with a large number of individual raw materials oppose reducing the conversion period.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45940
-
좋아요3
-
다운로드280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정부 정책이 귀농인 가구소득에 미친 효과 분석
- 이전글
- 청년 창업농의 성공적 정착에 미치는 요인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