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농촌경제
인터넷 검색지수는 농식품 구매를 선행하는가?

목차
1. 서론
2. 분석 방법
3. 분석 자료
4. 분석 결과
5. 요약 및 시사점
요약문
이 논문에서는 농업관측품목 30개에 대해 해당 품목의 인터넷 검색활동이 실제 소비자 구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2017년 30개 농축산물에 대한 네이버 데이터랩 검색지수와 농촌진흥청 농식품 소비자 패널조사의 일일 구매액 자료이다. 구매액과 검색지수 간의 상호 연관성과 선행성 여부를 규명하기 위해 그랜져 인과검정, VAR 모형 추정, 충격반응함수 분석 등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30개 품목 중에 24개 농축산물(전체의 80%)에서 검색지수가 구매액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당일의 인터넷 검색량 증가는 약 5~6일 후에 구매액의 증가 또는 감소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농업 관측에 있어서 소비관측에 필요한 가용 자료가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감안할 대 인터넷 검색지수는 저렴한 비용으로 농축산물 소비 동향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예측하는데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으며, 농산물 수급안정화 방안 마련에도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Internet search data in the rapid prediction of food consumption at the retail stage. For 30 agricultural food products, which are the very topics in the KREI's Agricultural Outlook, we collected the internet search index provided by Naver Data Lab and the consumers' daily purchasing costs obtained from the Agri-Food Consumers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RDA. We utilized time-series analysis such as VAR model, Granger Causality test and Impulse Response Function, and verified whether the Internet search index of each item preceded its purchases.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24 out of the total 30 items showed that their search index and purchase amounts were inter-influential or that the search index influenced only their costs of purchasing items. It was also found that the more they searched the Internet for information on an item, the higher the probability was of buying the item in about 5 to 6 days. For 80% of the items, past Internet search activities had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its current purchases. Considering that the data in the consumption outlook was is not sufficient to identify and predict real-time food consumption trends, the Internet search index can be an effective alternative at low cost.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37980
-
좋아요0
-
다운로드416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청과물 도매시장 경유율과 주요 기능 국제비교: 한국, 일본, 프랑스를 중심으로
- 이전글
- 농촌경제 제42권 제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