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촌경제

다단계 지출모형을 이용한 육류 수요시스템 분석

2021.12.30 17365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김종진, 서홍석; 정대희; 김충현
  • 등록일
    2021.12.30
목차

1. 서론
2. 분석 모형
3. 분석 자료
4. 분석 결과
5. 결론

요약문

본 연구에서는 아직 국내 문헌에 적용되지 않은 다단계 지출모형의 이론적 배경과 추정 방법을 소개하고 이를 국내 육류 수요시스템 추정에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육류는 3그룹(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과 8가지 차별화된 상품(국산, 수입냉동, 수입냉장 등)으로 분류하였다. 1996년부터 2019년까지의 연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체 육류, 그룹 육류, 그룹 내 세부 상품의 수요함수를 각각 추정하고 이를 재구성하여 전체 육류 수요시스템을 완성하였다. 추정치 결과는 세부 상품의 총지출(소득) 탄력성이 선행연구 결과와 동일하게 모두 유의미하게 1보다 크게 추정되었으며, 국산과 수입 육류 간의 대체효과보다 국산 육류 간 대체효과가 훨씬 더 크게 추정되었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그리고 돼지고기와 닭고기는 대체효과보다 소득 효과가 더 커 보완재로 추정되었다.

This study introduc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estimation method of the multi-stage budgeting model, which has not yet been applied in Korea. It uses the model to estimate the meat demand system. Specifically, it classifies meat into three groups (beef, pork, and chicken) and eight differentiated products(domestic, imported frozen, imported chilled, etc.). Using annual data from 1996 to 2019, it reconstructs the entire meat demand system by estimating the demand functions within a group and between groups. The estimates show that the total expenditure (income) elasticities are significant and greater than 1, suggesting that all meat products are luxuries as in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substitution effects between domestic meats are much greater than those between domestic and imported meats. And pork and chicken are estimated as complementary goods due to their higher income effects than substitution effec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not only in that it provides meat demand information (elasticities) necessary to analyze the impact of trade liberalization on producers and consumers' welfare and to forecast meat markets, but also it introduces the multi-stage budgeting model to Korea.

저자정보
김종진Kim, Jongjin
선임연구위원
소속: FTA이행지원센터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김종진Kim, Jongjin
선임연구위원
소속: FTA이행지원센터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
    17365
  • 다운로드
    286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혼합주기 모형을 활용한 가을배추 단수 예측모형 연구 -생육 단계별 기후효과 반영을 중심으로-
이전글
영농조합법인의 법적 성격과 조합원의 권리와 책임에 대한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