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촌경제

COVID-19 전후 환율이 식품 물가에 미치는 비대칭성에 대한 연구

2023.09.30 5754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석준호, 정대희; 문한필
  • 등록일
    2023.09.30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분석 방법
4. 분석 자료
5. 분석 결과
6. 결론 및 시사점

요약문

본 연구는 환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한 COVID-19 이후 기간과 환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된 COVID-19 이전 기간으로 나누어 환율이 우리나라 식품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비대칭적 자기회귀시차분포모형(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Model: ARDL)을 활용하여 환율이 식품물가에 미치는 비대칭성도 동시에 고려하였다. 분석 결과, COVID-19 이전에는 환율과 식품물가 간의 장기적인 균형 관계나 비대칭성이 유의하지 않았다. 이에 반해, COVID-19 이후에는 환율과 식품물가 간의 장기적인 균형 관계뿐만 아니라 장기에 환율과 식품물가 간의 비대칭성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 가격의 하방경직성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환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시기에는 환율이 안정되기 전까지 수입 원료 구입 비용 지원과 같은 방식으로 식품기업들에 대한 선제적인 지원 조치를 통해 식품물가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는 정책적인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exchange rates on food prices in Korea, comparing the period after COVID-19 when the exchange rate continued to rise and the period before COVID-19 when the exchange rate remained stable. The asymmetry of exchange rates on food prices is also considered using the asymmetric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Model (ARD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efore COVID-19, the long-term balance relationship or asymmetry between the exchange rate and food prices is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after COVID-19,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t only a long-term equilibrium relationship between exchange rates and food prices, but also an asymmetry between exchange rates and food prices in the long term. Considering the downward rigidity of food prices, this study could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need to manage food prices stably through preemptive support for food companies, in the form of supporting the cost of purchasing imported raw materials, until the exchange rate stabilizes during a period when the exchange rate continues to rise.

저자정보
석준호Seok, Junho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석준호Seok, Junho
저자에게 문의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 상세정보 조회
    5754
  • 다운로드
    210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연령-연도-코호트 모형을 이용한 개인의 쌀 소비량 결정요인 분석
이전글
코로나19 이후 배달서비스 도입이 외식업체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