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해외곡물시장동향

해외곡물시장 동향 제11권 제5호

2022.10.03 9087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김종진, 허덕; 김범석
  • 등록일
    2022.10.03
목차

1. 해외곡물시장 동향
세계 곡물시장 동향
세계 곡물 수급 동향 및 전망
국제금융시장 동향 및 환율 전망
곡물 해상운임 동향과 전망
곡물 시장의 선물가격 동향 및 전망

2. 해외곡물산업 포커스
[Issue Box]
EU 낙농·유업의 현황과 전망
낙농 대국 독일에서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대응
러시아: 농수산물 순수출국 전환, 수출규제 확대, 우크라이나 침공
영국의 농업 및 노동력 확보 정책
일본 PRIMAFF의 세계 식품 수급 동향과 중장기 전망
코로나19가 중국 유제품 소비에 미친 영향
[특집 : 코로나 관련 정보]
주요국의 COVID-19 대응 관련 정보(27)

3. 해외곡물시장 브리핑
FAO, Reuters, OECD 곡물시장 뉴스

4. 세계 농업기상 정보
주요 곡물생산국의 농업기상 현황

5. 부 록
세계 곡물 통계
국가별 대두 가공품 통계

요약문

「해외곡물시장 동향」은 농업관계자 및 일반인이 해외곡물시장을 이해하고 정부가 농업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세계 곡물시장 동향과 관련정보, 주요 지표를 정리・분석하여 발간하는 자료이다.

세계 곡물시장 동향, 세계 곡물 수급 동향 및 전망, 국제금융시장 동향 및 환율 전망, 곡물 해상운임 동향과 전망, 곡물 시장의 선물가격 동향 및 전망을 다룬다.

해외곡물산업 포커스에서는 EU 낙농·유업의 현황과 전망, 낙농 대국 독일에서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대응, 러시아: 농수산물 순수출국 전환, 수출규제 확대, 우크라이나 침공, 영국의 농업 및 노동력 확보 정책, 일본 PRIMAFF의 세계 식품 수급 동향과 중장기 전망, 코로나19가 중국 유제품 소비에 미친 영향을 소개한다.

저자정보
김종진
선임연구위원
소속: FTA이행지원센터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김종진
선임연구위원
소속: FTA이행지원센터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
    9087
  • 다운로드
    494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해외곡물시장 동향 제11권 제6호
이전글
해외곡물시장 동향 제11권 제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