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자료집

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책세미나

2008.05.31 4535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KREI
  • 등록일
    2008.05.31
  • 연구주제
    식품소비.
목차

일시: 2008년 5월 14일(수) 13:30∼17:30
장소: 서울 서초구 양재동 aT센터 3층 중회의실
주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후원: 농림수산식품부
새 정부의 식품정책 추진방향
발표: 이 상 만 (농림수산식품부 식품산업팀장)
제1주제: 식품산업의 현황과 정책과제
발표: 김 동 환 (안양대학교 교수)
제2주제: 식품영양 정책의 발전방향
발표: 이상선 (한양대학교 교수)
제3주제: 식품안전관리 정책의 현황과 발전방안
발표: 최지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

요약문

이 자료는 본원 주최 정책세미나인 "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 자료집이다. 주요발표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번째, 안양대학교 김동환교수는 "식품산업의 현황과 정책 과제"에서 우리나라 식품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식품과 농업간의 연계 강화, 기술 개발 체계 구축, 식품산업의 세계화, 식품클러스터 육성, 총공급망관리(SCM)체계 구축 등을 마련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두번째, 이상선 한양대학교 교수는 "식품영양 정책의 발전 방향"에서 기존의 우리나라 식품영양 정책이 등한시 되어왔던 사실을 지적하고 관련 정책 개선을 위해 식품 공급부터 영양소 섭취까지의 단계별 관련 요인 분석, 식품·영양·건강에 관한 정보 수집 및 관리, 대상 집단별 적절한 영양교육 강화, 식품영양 감시를 위한 부처별 연계 시스템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세번째, 최지현 본원 선임연구위원은 "식품안전관리 정책의 현황과 발전 방안"에서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제도(HACCP), 이력추적제도 등의 안전관리제도 조기정착 추진, 소비자 신뢰구축을 위한 기반 마련, 위해물질의 사전 감시 기능 강화, 식품안전정책의 효율화 등을 식품정책 발전 방향으로 제안했다.

저자정보
KREI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KREI
저자에게 문의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 상세정보 조회
    4535
  • 다운로드
    27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 : 제2회 동아시아 농업논단 자료집
이전글
한국의 농업정책 개혁에 관한 KREI-OECD 공동 워크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