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공공데이터 오픈 API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자료집
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책세미나

목차
일시: 2008년 5월 14일(수) 13:30∼17:30
장소: 서울 서초구 양재동 aT센터 3층 중회의실
주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후원: 농림수산식품부
새 정부의 식품정책 추진방향
발표: 이 상 만 (농림수산식품부 식품산업팀장)
제1주제: 식품산업의 현황과 정책과제
발표: 김 동 환 (안양대학교 교수)
제2주제: 식품영양 정책의 발전방향
발표: 이상선 (한양대학교 교수)
제3주제: 식품안전관리 정책의 현황과 발전방안
발표: 최지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
요약문
이 자료는 본원 주최 정책세미나인 "식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 자료집이다. 주요발표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번째, 안양대학교 김동환교수는 "식품산업의 현황과 정책 과제"에서 우리나라 식품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식품과 농업간의 연계 강화, 기술 개발 체계 구축, 식품산업의 세계화, 식품클러스터 육성, 총공급망관리(SCM)체계 구축 등을 마련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두번째, 이상선 한양대학교 교수는 "식품영양 정책의 발전 방향"에서 기존의 우리나라 식품영양 정책이 등한시 되어왔던 사실을 지적하고 관련 정책 개선을 위해 식품 공급부터 영양소 섭취까지의 단계별 관련 요인 분석, 식품·영양·건강에 관한 정보 수집 및 관리, 대상 집단별 적절한 영양교육 강화, 식품영양 감시를 위한 부처별 연계 시스템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세번째, 최지현 본원 선임연구위원은 "식품안전관리 정책의 현황과 발전 방안"에서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제도(HACCP), 이력추적제도 등의 안전관리제도 조기정착 추진, 소비자 신뢰구축을 위한 기반 마련, 위해물질의 사전 감시 기능 강화, 식품안전정책의 효율화 등을 식품정책 발전 방향으로 제안했다.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4535
-
좋아요0
-
다운로드27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 : 제2회 동아시아 농업논단 자료집
- 이전글
- 한국의 농업정책 개혁에 관한 KREI-OECD 공동 워크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