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자료집

신기술과 한국 농업의 비전 : 심포지엄 자료집

2008.06.30 6909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KREI
  • 등록일
    2008.06.30
  • 연구주제
    농업생산유통.
목차

2008. 6. 16(월) 오후 2시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
농업의 활로와 기술혁신 방향
김정호(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원장)

1. 딸기 고설수경재배 기술
전하준(대구대학교)·김연중(한국농촌경제연구원)
2. 복토직파 신기술
박광호(농촌진흥청 한국농업대학)·김연중(한국농촌경제연구원)
3. 청보리 랩-사일리지 TMR 연계 기술
박경규(경북대학교)·박문호(한국농촌경제연구원)
4. IT·BT 활용 쇠고기 이력추적시스템 기술
이정규(경상대학교)·박문호(한국농촌경제연구원)

요약문

이 자료집은 우리 연구원 주최로 열린 “신기술과 한국농업의 비전” 자료집이다. 주요내용은 기조연설과 농림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개발된 신기술 4건에 대한 기술특성과 현장활용사례로 구성되어 있다.
기조연설 “농업의 활로와 기술혁신 방향’에서 김정호 당원 부원장은 현재 우리 농업이 성장, 경쟁력, 소득 등의 한계에 직면해 있음을 지적하면서, 미래 농업은 정보통신(IT), 생명공학(BT), 나노기술(NT) 등을 접목하여 선진국형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어서 농림기술개발사업 현장활용 사례에서는 다음 네 가지가 발표되었다.
첫 번째로 대구대 전하준 교수가 개발한 ‘딸기 고설수경재배 기술’은 “기존의 딸기 재배에 비해 노동 강도가 적어 경영규모 확대가 가능하고 농가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한다”고 하였도, 두 번째, 한국농업대학 박광호 교수가 개발한 ‘복토직파 기술’은 “경운·정지·파종·복토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기술로서, 생력화·친환경성·수량성·재해 경감 등의 효과가 크기 때문에 북한, 중국, 아프리카 수단 등 해외로도 진출하고 있다”고 하였다. 세 번째, 경북대 박경규 교수가 개발한 ‘청보리를 이용한 완전혼합사료(TMR) 조사료 기술’은 “답리작 보리를 재배하여 경지이용률을 높이고 TMR 조사료 플랜트를 통해 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고 하였고, 네 번째, 경상대 이정규 교수가 개발한 ‘무선자동(RF)-ID를 이용한 한우생산이력제 기술’은 “한우의 고품질·안전성에 대한 소비자 신뢰를 확보하여 한우산업 발전에 기여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저자정보
KREI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KREI
저자에게 문의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 상세정보 조회
    6909
  • 다운로드
    30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농업부문 녹색성장 추진방안
이전글
동아시아의 농업과 식품산업 발전 : 제2회 동아시아 농업논단 자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