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세계농식품산업동향

영국의 제3차 기후위험 평가와 시사점

2022.07.29 2218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성재훈
  • 등록일
    2022.07.29
목차

1. 영국의 기후변화 영향 평가

2. CCRA3의 구성과 특징

3. CCRA3의 분석 방법
3.1. 1단계: 현재와 미래의 기후위험 및 잠재적 혜택 평가
3.2. 2단계: 현재 및 계획된 정부 및 비정부기구의 기후변화 적응 평가
3.3. 3단계: 추가적인 적응 활동의 편익 평가

4. 정책적 시사점

요약문

국가별 농업자료에서는 영국이 실시한 제3차 기후위험 평가(CCRA)에 대해 소개하고 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CCRA는 시급성 평가와 초기적응 중요성 등 두 개의 분석틀로 되어 있다. 시급성 평가는 현재와 미래의 위험 및 혜택에 대한 평가, GP 및 NGO의 기후변화 적응 평가, 그리고 추가적인 적응 활동의 편익 평가 등 세 개의 단계로 나누어진다. 영국 자료에 대한 검토를 통해 우리나라 기후변화 관련 평가 결과를 정책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잘 마련할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저자정보
성재훈
연구위원
소속: 기후환경연구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성재훈
연구위원
소속: 기후환경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
    2218
  • 다운로드
    15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유럽연합(EU)의 농식품 수입 규정과 표준
이전글
CPTPP SPS 협정문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